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02
- 승인한다. 그럼 자동으로 피보험자에게 보험금이 보내지고, 이 기록 역시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복잡한 모든 과정이 자동화된다.블록체인으로 업무 자동화, 속도 빨라져주식 거래 역시 마찬가지다. 현재는 주식을 거래하면 그 결과가 바로 승인되지 않는다. 거래한 증권사들, 한국거래소, ... ...
- [Issue] 술, 안주 없이 마셔라?과학동아 l201702
- 영양학 전문가들의 답은 ‘No’입니다. 마신 알코올은 약 10%만 배설되고 나머지는 몸에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몸에 남은 90%는 알코올탈수소효소(NAD+)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틸조효소에이(Acetyl-CoA)로 차례로 전환됩니다. 아세틸조효소에이는 지방질 대사에 굉장히 중요한 대사중간체입니다. ...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과학동아 l201702
- 자외선을 받으면 산성물질을 내는 ‘광산발산제’를 넣은 고분자 필름을 코팅했다.이 저장장치에 빛을 쪼이면 업컨버팅 나노입자에서 자외선이 나온다. 이 자외선을 받은 광산발산제는 산성물질을 내고, 이 산성물질에 저항메모리가 녹는다. 실험 결과, 데이터가 완벽하게 지워졌다.논문의 공동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2
- ‘기준광’을 만든다. 이 두 빛이 섞일 때 생기는 간섭패턴을 필름과 같은 감광재료에 저장하는 것이 원리다. 그런 다음 필름에 기준광을 다시 쏘면 물체 없이도 필름에 기록됐던 물체광이 나와 원래 물체의 형태를 재현하는데, 이를 ‘아날로그 홀로그래피 기술’이라 부른다.아날로그 홀로그래피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01
- 기존 반도체 기술은 속도나 집적도, 소비전력 등에 한계가 있다. 메모리 속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려면 원자의 배열과 방향을 바꿔야 하는데, 전류를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경우 크기가 작아질수록 저항이 커지고 발생하는 열도 많아진다.이 교수팀은 기존의 전기나 자기장 대신 ... ...
- 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적정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624
- 일명 뺑뺑이)’는 아이들이 놀기 위해 돌리면 지하에 있는 물이 올라와 물탱크에 저장되는 놀이기구예요. 하지만 현재 수많은 플레이펌프들은 고장 난 채로 흉물처럼 남아 있답니다. 아이들이 땡볕 아래에서 돌리기에는 너무 힘들었고, 고장 난 뒤 고치는 것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죠.이에 대해 ... ...
- [도전! 코드마스터] 컴퓨터가 내 몸 속 비밀을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생물의 몸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를 말해요. 유전 정보는 대부분 세포에 있는 DNA에 저장돼 있어요. 이 정보들은 아데닌(A), 티아민(T), 구아닌(G), 시토신(C)이라는 네 가지 염기 물질의 조합 안에 마치 암호처럼 들어 있답니다.게놈 해독은 생물의 유전자가 각각 어떤 염기 조합에 해당하는지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격자 한 칸 안의 색이 진하면 1, 밝으면 0으로 구분해 컴퓨터 데이터로 바꿔요. 이렇게 저장된 자료와 비교하면 본인이 맞는지 확인하는 원리랍니다.홍채 인식 기술은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 중 가장 정확도가 높지만 단점도 있어요. 최근에는 패션의 일부로 ‘서클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거든요.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사진을 격자로 나누고, 격자 한 칸의 색의 진하기에 따라 1과 0으로 값을 주어 정보로 저장한답니다.걸음걸이, 다리의 각도를 파악하라!걸음걸이도 열쇠가 될 수 있어요. 사람마다 다리 모양과 근육 강도, 힘줄의 강도가 달라 서로 다른 걸음걸이를 갖거든요.걸음걸이를 측정할 때 중요한 건 다리의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발달하면서 지문인식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했어요. 수많은 사람들의 지문 정보를 저장했고, 이 정보를 이용해 범인을 잡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지요. 또 손가락을 갖다 대기만 하면 되는 편리함 때문에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출입문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