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1,58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09
- 마지막두 자리 숫자가 2초쯤 어느 선 근처를 오르내리다가 조금 전과 정확히 같은 지점에서 그대로 멈춰 섰다. 체중이 줄어든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늘어 있었다. 그것도 15킬로그램 이상이나. 은경은 깜짝 놀라 집을 빠져나왔다. 그리고 곰곰이 생각에 잠겼다. 일터로 가는 내내, 일거리를 처리하는 ... ...
- [소프트웨어] 게임세계에선 나도 금메달~ 맞혀라, 황금과녁!수학동아 l201609
- 초속 800m라면, 화살이 과녁에 도달할 때까지 0.625초가 걸리고 조준점에서 약 1.91m 떨어진 지점에 화살이 맞는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과녁을 정확히 맞히려면 과녁의 정중앙에서 약 2m 윗부분을 조준해야 하는 셈이지요.바람 부는 곳에서는 3차원 좌표로!어떤 게임에서는 실제 상황과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09
- 벌어지면 연구소로 즉시 주의 신호가 간다. 모니터링 장치는 암반에 균열이 있는 3개 지점을 비롯해 케이블카와 등대 등 주요 구조물에 설치돼 있었다.동행한 박찬 지구환경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경사계와 균열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낙석과 같은 작은 충돌에도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09
- 육지의 터널 공사와 별반 다르지 않아 보였다. 차로 터널을 지나오며 마주한 ‘바다 시작 지점’이라는 팻말이 없었으면 머리 위에 바다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을 것이다.“쉿, 잘 들어보세요. 무슨 소리 안 들려요?”공사현장을 소개해준 빈기찬 하이콘엔지니어링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08
- 볼록렌즈를 통과한 빛은 한점으로 모이는 초점을 지난 뒤, 다시 퍼지게 돼요. 이 지점에 우리가 보는 상이 맺히기 때문에 거꾸로 된 작은 상을 보게 된답니다.볼록렌즈를 사용해 멀리 있는 것을 크게 보여주는 굴절망원경에는 물체에서 나온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대물렌즈와, 모인 빛을 꺾이도록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07
- 밀폐가 잘 되는 문이 달려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그 지점만 온도가 낮다는 의미다. 와이즈먼 박사는 천천히 궁전을 둘러보던 사람들이 차가운 공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순간적으로 근육이 수축해 오싹하게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6.4분, 내가 뱀파이어가 되는 데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07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주노는 목성의 가장 바깥 대기로부터 5000km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약 1년간 목성을 탐사할 계획이다. 1973년부터 많은 무인 우주 탐사선이 목성에 다가갔지만, 이렇게 가까이 다가간 탐사선은 주노가 처음이다.목성은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있다. 지구에서 ... ...
- [과학뉴스]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과학동아 l201607
- 수 있는 기술이 부족했다.연구팀은 두 개의 광시계를 건물 옥상에 설치하고 4km 떨어진 지점에서 동시에 레이저를 쐈다. 이때 광시계가 내는 레이저 빛(광시계가 측정한 시간)의 파동을 1~2fs 단위로 잘게 쪼개 보냈다 (일명 ‘주파수 빗(frequency comb)’ 기술). 그리고는 도달한 두 파동의 위상차를 비교해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07
- 표시했다.완성된 악취 지도는 한 도시의 악취 현황을 한눈에 나타낸다. 실제로 측정한 지점의 악취 데이터와, 측정하지 않았지만 예측되는 악취 데이터를 색깔로 표시했다. 맨홀을 일일이 열어보지 않고도 악취가 가장 심한 곳을 찾아 악취 저감 시설을 설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악취를 연구하는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06
- 이카로스는 2010년 5월 20일에 발사돼 같은 해 12월 8일, 금성에서 8만800km 떨어진 지점까지 다가가는 데 성공했다. 203일 만에 이뤄낸 쾌거였지만, 일반 우주선보다 획기적으로 빠르지는 않았기에 조금 아쉬움이 남았다.속도를 보완하고자 여러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 UC 샌타바버라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