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테나
더듬이
공중
안테너
말더듬이
뿔
촉수
d라이브러리
"
촉각
"(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뭉치가 달라졌어요! 스쿨 필하모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5
넘어 악보를 보고 손으로 연주하는 행동을 함께해요.음악 활동은 이렇게 청각과 시각,
촉각
으로 받아들인 정보를 분석하는 ‘감각통합능력’을 길러 준답니다. 따라서 음악 활동을 하면 대뇌가 여러 종류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발달해요. 악기를 다루는 것에 능숙해지면서 자신감도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5
사람 움직임을 전기신호로 바꿔 로봇에 보낼 수 있거든. 또 사람 피부 역할을 하는
촉각
센서나 기울임을 느낄 수 있는 자이로센서로 기계가 감각을 느끼게 만들 수도 있어.KIST에서 개발한 로봇 ‘마루3’은 사람을 따라서 동작하고, 일본의 ‘텔레사르5’ 로봇은 어떤 물체를 잡았을 때 ‘차갑다’,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04
보다는
촉각
을 예민하게 하기 위한 구조라는 것. 연구자들은 말단의 신경 역할을 하는
촉각
센서를 만든 뒤 하나는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감싸고 하나는 손가락 끝 피부처럼 미세한 요철이 있는 재질로 감쌌다. 그리고 유리 표면을 훑게 했을 때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하자 요철이 있는 재질일 때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04
그대로를 나무판에 파거나, 양초를 굳혀 볼록하게 만들어 썼다. 그러나 선으로 된 글자를
촉각
만으로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보통 사람이라면 글자의 크기가 손바닥만큼 커야 글자의 모양을 구별할 수 있다.그 뿐만이 아니다. 볼록한 글자를 쓰자니 글자 모양 그대로 볼록하게 쓰는 도구도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03
느낌을 더 잘 기억해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면 향기 대신 어떤 물건을 잡게 하는
촉각
자극이나 음악 같은 청각 자극을 줬을 때는 이런 효과가 없었다. 헤르츠 박사는 냄새가 감정을 담당하는 대뇌 변연계를 자극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모든 생물의 후각 기관은 변연계와 직접 맞닿아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02
사이에서 공기전염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적혀 있다. 이 연구에 미국이 이렇게
촉각
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팬데믹(전염병 대유행)’과 생물학테러 때문이다.실험에서 사용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5N1은 치명적인 고병원성 바이러스다. 지난달 중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이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과학동아
l
201110
손가락마다 관절이 3개 이상 들어가고 여기에 물건의 딱딱한 정도를 느끼는 힘 센서와
촉각
센서도 들어가거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연구진이 나를 덱스트러스 방식으로 만든 이유는 더 다양한 분야에 나를 활용하기 위해서야. 집게손은 빵이면 빵, 접시면 접시처럼 한정된 대상만 집어 올릴 수 ... ...
통증
과학동아
l
201110
미각을 함께 느끼지 못한다는 설정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촉각
은 체성감각계에서 받아들인 뒤척수를 거쳐 뇌에 도달한다. 하지만 맛을 구성하는 미각과 후각은 시각 신경처럼 뇌에서 직접 뻗어 나온 뇌신경을 통해 척수를 거치지 않고 직접 뇌로 전달된다. 통증과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
과학동아
l
201108
등장한다는 점도 후크송이
촉각
을 자극하게 만든다.후크송은 춤 없이 음원만으로도
촉각
을 자극한다. 배 교수는 송대관의 ‘네박자’와 원더걸스의 ‘노바디’ 음원을 분석한 스펙트럼을 보여줬다. 사운드스펙트럼은 전체적으로 빨간 세로줄로 빽빽하게 나타났다. 가사가 나오는 부분은 목소리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06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됐다. 고대포유류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감각기관, 특히 후각과
촉각
이 많이 발달한 것이 두뇌와 신경계 발달로 이어졌다는 것이 티모시 교수팀의 설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5월 20일자에 실렸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