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론
논의
의논
협의
심의
논쟁
협상
d라이브러리
"
토의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
과학동아
l
199703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아인슈타인의 연구 동지로서 양자론의 의미에 관해 열렬한
토의
를 갖는 등 그와 가까운 사이였다. 그는 존재의 본질을 꿰뚫고자 하는 구도자적(求道者的) 열정을 갖고 물리학의 한계를 넘나들면서, 인디아의 성자 크리슈나무르티나 달라이라마를 비롯한 세계의 정신적 ... ...
2. 과학탐구토론대회 새로운 공룡멸종설
과학동아
l
199610
태도를 보인 것 등이다. 이런 점은 추후에 꼭 개선해야 할 문제이다.또 팀 구성원들 간의
토의
도 부족했다. 서로 얘기는 많이 했지만 독창적인 생각들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그저 학자들의 학설에만 의존해 발표했던 점이 참여자에게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주제가 비슷한 팀들이 많아 흥미를 ... ...
삐뚤어진 바퀴라야 바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10
달라졌을 때다. 좌우 캐스터각이 다를 때는 각도가 작은 쪽으로 주행중 차가 쏠리게 된다.
토의
경우는 단어 그대로 위에서 바퀴를 보았을 때 앞부분이 어떤 각도를 이루고 있는가를 말한다. 앞쪽이 안을 향하고 있으면 토 인(toe-in), 바깥쪽을 향하고 있으면 토 아웃(toe-out)이라고 부른다.
토의
역할은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07
가장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가. 손의 상태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지
토의
해보자. 각자 가족들의 저항을 측정한 뒤 측정결과를 모아 정리해 보자. 연령별, 성별로 평균값을 구해 어떤 경우에 감전의 위험이 가장 큰지 결론을 내려보자. 아래(표2)는 영신고 1학년 남학생 4명이 자신의 ... ...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
과학동아
l
199607
엄청난 양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를 잘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이 무엇인지
토의
해보자.(참고) 전체적인 태양의 복사에너지 양은 많으나 단위면적당 도달하는 에너지의 밀도는 낮다. 또 계절과 시각, 기상 상태에 따라 도달하는 에너지 양의 변화가 심해 지속적인 에너지 생산이 어렵다. ... ...
3. 종이가 액체를 흡수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5
달라지기 때문이다.토론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영란) 지금까지 한 실험을 바탕으로
토의
하자. 먼저 종이의 무게가 가벼울수록 액체를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다는 가설... 어떻게 생각해?미선) 가장 가벼운 종이는 부엌용 종이고, 거름종이가 가장 무거워. 그러면 부엌용 종이가 가장 빨리 흡수하고 ... ...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
과학동아
l
199605
물리현상 중에서 마찰만큼 재미있는 것도 드물다. 어떤 경우엔 커야 좋고 어떤 경우는 작아야 좋다. 우리 생활 속에서 마찰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함께 탐구해 보 ... 이들을 토대로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판단한다. 더 필요한 정보나 실험이 있는지
토의
해 수행한다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03
실험만 제시돼 있었다. 공통과학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해야 하는 탐구활동으로 자료해석
토의
변인통제 관찰 등 다양한 활동이 등장한다.이런 활동들을 제대로 하려면 주변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류해야 한다.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곳은 신문 과학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과학도서 등으로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03
연구원은 그저 불평만 할 것이 아니라 일이 발생한 시점에 정확히 문제점을 지적해
토의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밴팅은 매클로드팀의 일원으로 일하면서 문제를 공식적으로 지적하기보다는 비난만 했고 자신이 인슐린의 발견자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매클로드와 콜립의 공로를 전부 무시하려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02
한글 코드 컨소시엄을 구성해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충분한 연구와
토의
를 거쳐 한글 코드의 나아갈 방향과 문제점을 연구하고 의견을 통일한 후 채택된 안을 과감한 밀고 나가야 한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한글 코드 문제는 우리의 글을 살리고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일이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