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
상대방
동료
상대역
상대자
동업자
d라이브러리
"
파트너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않는다. 게다가 씨가 넓게 퍼지려면 걸어 다니는 포유류보다 날아다니는 조류가 더 좋은
파트너
다. 따라서 캅사이신은 고추가 불청객인 포유류를 쫓아내려고 만들어낸 진화의 산물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고추의 구상을 무너뜨린 종이 등장했으니 바로 인류다. 다른 포유류처럼 고추를 통째로 ... ...
발 없는 소문 힘도 세다
과학동아
l
200711
지난 10월 15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인터넷판에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파트너
가 과거에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 알려주는 객관적 기록보다는 다른 참가자로부터 들은 소문을 더 신뢰했다. 특히 긍정적 소문보다 부정적 소문에 큰 관심을 보였다.소머펠트 박사는 “사람들은 종종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11
서비스)란?온라인에서 인맥을 맺어주는 서비스로 모르는 사람과 친구가 될 수도, 사업
파트너
를 만날 수도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SNS는 6명만 건너뛰면 누구와도 연결된다는 이른바 ‘6단계 분리’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2천만명이 넘는 회원을 가진 ‘싸이월드’가 대표적이고,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10
기차의 속도와 선로의 방향을 조정해 기차가 충돌하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새로운
파트너
를 만난 모바일 증강현실은 이제 기술을 누가 사용하며 언제, 왜,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는지까지 고려하는 ‘맥락인지형 모바일 증강현실’(CAMAR)로 다시 한번 변신을 꾀하고 있다. 같은 지능공간 안에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10
구성된 오비탈 익스프레스다. 아스트로(ASTRO)라는 700kg짜리 서비스 위성과 224kg짜리
파트너
위성인 넥스트샛(NextSat)으로 이뤄진다. 아스트로는 136kg의 로켓연료용 하이드라진 추진제를 채우고, 넥스트샛에게 장비를 전달하기 위한 소형 로봇팔을 장착하고 있다. 두 위성은 랑데부한 뒤 아스트로는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01
독일과 천문학을 공동 연구하기 위해 힘을 합치다니, 이제 우리나라도 독일의 훌륭한
파트너
가 된 것이다. 앞으로 30년 뒤엔 독일과 어떤 인연이 이어질지 궁금하다. 우주의 놀라운 비밀 하나를 벗기지 않을까. 한국우주 전파관측망, 동북아로 뻗어간다 망원경이 커지면 그만큼 분해능(가까이 붙어 ... ...
특집4. 앳된 얼굴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05
여성을 선택하는 경우부터 살펴보자. 성선택론으로 보면 남성은 오랫동안 함께 지낼
파트너
를 선택할 때는 ‘번식적 가치’가 높은 여성을 선호한다. 여기서 번식적 가치란 어떤 나이와 성을 가진 사람이 미래에 갖게 될 자녀의 수와 관련된다. 가령 15세 여성은 35세 여성보다 번식적 가치가 더 높다.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04
잉크젯 프린터가 필요하다.최근 잉크젯 프린터가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영원한
파트너
일 것만 같았던 종이를 떠나 전자산업과 생명공학에까지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 휴대전화 같은 각종 전자제품을 한 번에 찍어내듯 만들고, 인체의 피부 조직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데 잉크젯 프린팅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11
그는 말한다.최근 천문연구는 국제적인 공동 연구가 많기 때문에 한국이 얼마든지
파트너
로 참여해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 요즘 그는 전파에만 만족하지 못하고 자외선까지 넘보고 있다. 자외선을 관측하는 갈렉스(GALEX) 망원경으로 우주 탄생 초기에 은하와 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11
다른 반응물과의 반응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 경로를 거친다.쇼뱅 박사는 분자커플의
파트너
를 낚아채 다른 분자커플과 교환시키는 촉매의 역할을 규명하고, 그 결과 나타나는 새로운 분자커플을 예측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이다. 반응경로의 정확한 규명을 계기로 자리교환 반응을 효율적으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