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시
한차례
d라이브러리
"
한동안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트코인도 털린다
과학동아
l
201401
2009년 1월 3일 비트코인이 역사적인 가동을 시작했다. 초반에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한동안
사토시 나카모토 홀로 북 치고 장구 치는 모양이었다. 그 외로운 작업의 결과로 지금까지 발행된 전체 비트코인(약 1100만 비트코인)의 약 10%를 사토시 나카모토 혼자 차지한 것으로 추정된다.지금도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01
. 반면 원자핵은 다시 양의 전기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으로 중성인 중성자로 나뉜다.
한동안
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전자처럼 물질의 근본단위로 여겨졌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이론물리학자들에 의해 쿼크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그 존재가 실험적으로 확인되면서 물질의 근본단위는 쿼크까지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
과학동아
l
201401
수 있을까. 그리고 인공촉각이 넘쳐나는 시대가 되면 우리는 지금보다 더 행복해질까.
한동안
유투브에서 ‘podaegi’라는 단어가 유행했습니다. 아기를 업을때 쓰는 바로 그 ‘포대기’입니다. 늘 포대기에 업혀 자라온 우리는 싱거운 웃음만 나오지만, 동영상 속 외국 엄마들은 서툰 솜씨로 아이를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
수학동아
l
201312
않아요. 마치 계단 모양 그래프처럼 변화가 없는 것 같다가 한 번에 쑥 높아지고, 또
한동안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죠. 기다리는 시간 동안 좌절하지 않고 성실하게 노력하는 마음의 힘이 수학 실력을 기르는 비결이랍니다!"선배들에게 듣는 수리과학과 입학의 비결!수학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
과학동아
l
201312
않은 물질도 결국에는 서서히 증발해 생을 마감하게 된다.그러면 이제 블랙홀이 남는다.
한동안
우주는 블랙홀이 지배하게 된다. 그러나 블랙홀도 영원하지는 않다. 호킹 복사를 통해 서서히 에너지를 방출하며 증발한다. 무거운 블랙홀일수록 증발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블랙홀이 모두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1312
없었습니다. 이미 피부에 있던 멜라닌 색소를 없앨 필요도 없었기 때문에, 흰 피부도
한동안
나타나지 않았습니다.그런데 농경이 시작된 1만 년 전부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고기와 생선 대신 곡물을 주로 섭취하게 되면서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그래서 결국 햇빛을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
과학동아
l
201312
승객이 퇴근길에 뉴욕 전철에 갇혔고, 모든 기차가 정지했다. 착륙을 시도하던 비행기는
한동안
공항 상공을 맴돌아야 했다. 3000만 명을 공포에 떨게 했던 이 사건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정전 사고로 역사에 기록됐다. 하지만 정작 사고의 발단은 고장난 전선 단 한 개였다. 그 뒤에도 1977년, 1994년,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
팔아넘길 수도 있어요.그래서 고래연구소와 제주대학교에서는 돌고래를 방류한 뒤로도
한동안
지켜보면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에요. 여러분들도 고향으로 돌아간 돌고래들이 다시 잡히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응원해 주실 거죠 ... ...
전자책 부록_소문난 名品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11
교수들 사이에서 ‘좋은 학과’로 소문난 곳을 검토해보는 것은 어떨까?연구중심대학이
한동안
강조되면서 많은 대학들이 학부 교육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과학동아는 학부생에게 훌륭한 교육을 제공하는 학과(부)’를 선정해, 11월호 특별부록 ‘소문난 명품학과 - 공대편’을 전자책으로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09
보석으로 불리게 된 것도 이때부터다. 하지만 브릴리언트 커트가 왜 아름다운지는
한동안
아무도 몰랐다. 20세기 폴란드의 수학자 마르셀 톨코프스키는 브릴리언트 커트가 많은 사람들로 사랑받는 이유를 수학적으로 연구했다. 톨코프스키는 다이아몬드의 모양에 따라 빛이 어떻게 굴절하는지를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