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03
저 영양가의 식물성 먹거리를 더 많이, 다양하게 섭취했다. 따라서 씹는 능력에 관련된
해부학
적 특징이 발달했다. 예를 들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이티오피쿠스는 오늘날의 고릴라와 비슷한 크기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디오피쿠스의 몸은 겨우 고릴라의 4분의 1정도에 지나지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03
인공고기를 연구하는 블라디미르 미로노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세포생물학 및
해부학
과 교수는 “동물의 근육줄기세포를 채취해 증식시킨 후 근육으로 분화시켜 고기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기 위해서는 틀이 필요하다. 이런 틀은 자극 감응성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02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학
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책은 코쟁이류와는 달리 교훈을 충실하게 지킨다. ‘동물 분류에서 겉모습은 덜 중요하다.’ 이 책에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02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학
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책은 코쟁이류와는 달리 교훈을 충실하게 지킨다. ‘동물 분류에서 겉모습은 덜 중요하다.’ 이 책에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외계인●2010 니콘 스몰월드 2등●히데오 오츠나 박사●미국 유타 의과대학 신경생물과
해부학
과●배율 20배다양한 색으로 염색된 제브라 피쉬의 머리가 마치 외계인같다. 척추동물인 제브라피쉬는 폐를 제외하고 인간이 가진 장기를 모두 갖추고 있다. 어때? 세밀하게 들여다보니 생물들이 정말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12
못했다고 생각해 왔다. 연구팀은 현재까지 발견된 화석을 이용해 익룡의 크기와 무게,
해부학
적 특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익룡은 새와 골격 구조, 날개 비율, 근육 양이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비행 방법도 새와 다르다는 결론을 내렸다.익룡은 땅에 내려설 때와 바람을 타고 하늘을 날고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12
사이먼 르베이 박사는 캠브리지대에서 자연과학을 공부한 뒤 독일 괴팅겐대에서 신경
해부학
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대 의대에서 10여 년간 봉직한 뒤 1984년 미국 솔크연구소로 옮겼다. 르베이 박사는 오랫동안 동물의 시각피질이 어떻게 시각정보를 처리하는가를 ... ...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12
관이 경락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봉한학설은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
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가 연구하고 있다. 소 교수는 흰쥐의 혈관 안에서 알 수 없는 봉오리와 관을 발견하고 이것이 경락이라는 또다른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영상 이미지로 만들어 낸다. ‘말디 질량분석 이미징’이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조직의
해부학
적인 구조를 망가뜨리지 않은 채 단백질을 조사할 수 있다. 카프리올리 교수는 “눈으로 단백질의 분포를 볼 수 있다는 게 중요하다”며 “말디를 이용한 영상 기술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만들어지지는 않는다.〃지금까지도 상당수 사람들이 믿고 있는 이 도그마는 19세기 신경
해부학
자들의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한다. 뇌에서 기억이 ‘온전하게’ 보존되려면 신경세포와 그 연결망인 시냅스가 안정돼야 한다는 생각과 맞물려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얻었다. 게다가 뇌출혈이나 사고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