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솥
노
양머리
가마솥
들것
gama
가마니
d라이브러리
"
가마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타종과 마모의 흔적이 없으면 가짜일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이같은 육안 감정은 전문
가마
다 견해가 다를 수 있다. 명쾌하게 진위가 판명되지 않고 진위 논란이 오랫동안 이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만큼 진위 감정이 어렵다는 말이다.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과학적 분석과 육안 감정이적절하게 ... ...
지질학자와 떠나는 온천 탐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여러개 굴착돼 있다.다른 지명에서도 이런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부곡온천과 같이
가마
솥 부(釜)자가 들어 있는 지명에서도 온천 개발을 위한 시추공이 여러개 있으며, 탕골과 같이 고지명(古地名)에 끓일 탕(湯)자가 들어가는 곳도 마찬가지다. 옛날 사람들이 아무런 근거 없이 지명을 붙인 것은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찻잔이 아니라 탕잔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이색적이다. 이 잔은 전북 부안 유천리
가마
터에서만 나왔을 뿐 발견된 예가 드문데다 고려인들이 인삼탕을 즐겨 먹었다는 ‘고려도경’(高麗圖經)의 기록을 입증하는 귀중한 유물이다.그러나 이번 조사에선 아쉽게도 선박의 잔해는 확인되지 않았다.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위폐 사건인 ‘정판사(精版社) 위조사건’이다. 총 위조된 금액은 1천2백만원. 당시 쌀 한
가마
가격이 3백80원 정도였으니 오늘날의 화폐가치로 따지면 대략 63억원 정도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 사건이었다. 위조지폐 처벌로 손목 자르기도화폐 위조가 초래하는 혼란과 피해 때문에 ... ...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뒀다가 자연적으로 식혀서 꺼낸 숯이다. 표면이 검게 보이므로 흑탄이라 한다. 백탄은 숯
가마
내의 온도를 섭씨 1천도 이상 올려서 구운 다음 벌겋게 달아있는 상태에서 꺼내 흙, 재 등을 덮어 빠른 속도로 불기를 꺼버린 숯이다. 표면의 빛깔이 희끗희끗해 백탄이라고 한다. 흑탄은 주로 공업용이나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내린다. 고욤나무에 감나무 접을 붙이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런 나무를 잘라보면 마치 쌍
가마
를 보고 있는 듯 두개의 나이테 두름이 한꺼번에 들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나무 세포의 이어짐은 적어도 10여년이 넘게 걸리고 결국은 한나무와 꼭 같아진다. 양분과 수분을 서로 주고받음은 물론이고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그 아래 썩은 액체 속에 떠올랐다, 가라앉았다, 꿈틀거렸다 하는 구더기의 모습이 마치
가마
솥에서 물이 끓는 것 같다. … (금파리의 구더기는) 길다란 원뿔모양을 하고 있으며 머리는 뾰쪽하고 꼬리는 잘린 듯한 … 숨을 쉬는 숨구멍인 두개의 작은 갈색점이 피부의 표면에 나타나있다. 앞쪽의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배운 게 고작이다.그런데 도기 그림은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워낙 작은 데다가
가마
에 굽는 과정을 거치니까 색깔 사용도 제한될 수밖에 없고 무엇보다 도기 화가들의 그림 솜씨가 진짜배기 화가들하고 수준차이가 상당했을 거라는 걸 감안해야 한다.로마 시대 벽화들도 마찬가지다. ... ...
시멘트의 출생장소는 도자기 굽는
가마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발명가의 즐거움은 자신의 발명이 엉뚱한 곳에 사용돼 더욱 빛을 볼 때이다. 그런 면의 대표적 발명 중에 하나는 아마도 시멘트로 보인다.미국의 시카고나 뉴욕은 고층 빌딩의 숲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고층 건물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사실 19세기 중순까지 만해도 1백m 이상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도자기에 원하는 빛깔을 내기 위해서 많은 실험을 했다. 깨진 자기 조각에 유약을 발라서
가마
속에 넣고 굽는다. 이를 통해 어떤 색이 나오는지를 확인하고 그 뒷면에 바른 유약의 종류를 적어놓았던 것이다.유약성분을 알아본 다음 영릉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세종대왕 시대에 나왔던 수준 높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