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영원한 라이벌! 승리할 '가능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개수의 합으로는 누가 더 잘했는지 판단할 수 없어. 이럴 때는 각자의 기록을 대표하는 값을 정해서 비교해야 해!” “꼬슴, 또치야! 너희의 평균 기록은 5개로 똑같으니까 그만 싸우렴!”그 순간, 꼬슴이와 또치가 마주 보며 ‘씨익’ 웃었어. 휴, 드디어 평화를 되찾은 걸까? ▼이어지는 기사를 ... ...
- 2차전 버섯 볼링핀 쓰러뜨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옮긴 건 아닐까요?”난 꼬슴이가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다시 설명해줬어.“자료의 값을 모두 더해 자료의 수로 나누는 방법으로도 평균을 구할 수 있어. 각자 쓰러뜨린 볼링핀의 수를 모두 더한 다음, 쓰러뜨린 횟수인 3으로 나누는 거지.”다시 계산을 해본 꼬슴이는 고개를 끄덕이며 인정했어 ... ...
- [어수티콘 사전] 평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1호
- 수 있는 값을 말해요. 어수동 : 그럼, 대표하는 값은 어떻게 구하나요? 수달 : 자료의 값을 모두 더한 뒤, 자료의 수로 나누면 평균을 구할 수 있어요. 만약 친구 3명이 각각 1점, 3점, 5점을 받았을 때, 3명의 평균을 구해볼까요? 점수의 합은 1+3+5=9이고, 친구의 수는 3명이니까 자료의 합인 9를 3으로 ...
- 해녀 취재를 위해 직접 바닷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길이(폐활량)에 따라 작업합니다. 수중에서 숨을 오랫동안 참을수록, 더 깊이 내려가 값이 비싼 전복, 문어 등을 채취할 수 있지요. 숨 길이에 따라 해녀는 상군, 중군, 하군으로 계급이 분류됩니다. 소라 채취 기간인 5월 동안 상군은 보통 수심 9~14m, 중군은 5~9m, 하군은 2~4m의 깊이에서 작업하지요. ... ...
- [기획] 항생제, 먹으면 감기 빨리 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복용량은 2028.8 DOT(항생제 투여 일수의 총합을 재원 일수 당 1000명의 환자로 보정한 값)로 성인(1215.3 DOT)보다 1.7배나 많았지요.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는 “무슨 병이든 항생제를 먹으면 빨리 낫는다는 잘못된 인식이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현대판 복사기 특허 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914’라는 기계를 만들었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복사기는 무게가 300kg에 달하는 데다 값이 비싸 거의 팔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버튼을 한 번만 누르면 한꺼번에 10장이 넘게 복사가 된다는 편리함으로 복사기는 점차 인기를 끌었답니다 ... ...
- 1초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즉 하루가 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먼저 재고, 그것을 8만 6400으로 나누어서 나오는 값을 1초라고 정했어요. 그러나 과학자들은 지구가 회전하는 시간이 규칙적이지 않다는 걸 발견했고, 1초를 계산하는 방법을 다시 정했지요. 바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세슘 원자★를 이용한 방법이에요 ... ...
- [출동, 슈퍼M] 추석 날짜는 왜 해마다 달라지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9.5일을 한 달로 정하는 셈이에요. 1년은 12달이므로즉 음력으로 했을 때 1년은 354일이라는 값이 나와요. 양력으로 1년은 365일이고, 음력으로 1년은 354일로 정하니 양력과 음력 사이에 11일이라는 차이가 생겼어요. 천문학자들은 이 차이를 줄이기 위해 19년 동안 7번의 ‘윤달’을 넣기로 했어요. 윤달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가오는 태풍, 뱃머리는 어디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저기다! 저기예요, 꿀록 탐정님!”태풍이 북상하고 있다는 소식에 바다 위의 모든 어선에 대피하라는 명령이 떨어졌어요. 꿀록 탐정도 대피를 돕기 위해 바다로 나가보니, 벌 ... 지구를 3차원의 격자로 나눈 뒤 기온, 바람 등의 기상 요소를 관측자료, 컴퓨터 모의 자료를 합쳐 만든 값 ... ...
- [어수티콘 사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잴 때는 L(리터)를 많이 써요. 이 단위들을 10배씩 늘리거나 1/10 씩 쪼개어서 더 정확한 값을 나타내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 1m의 1/100은 1cm(센티미터)예요. 또, 1kg의 1/1000은 1g(그램)이지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