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가
달인
남편
주인
마스터
거목
거물
d라이브러리
"
거장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저의 석·박사 지도교수가 된 볼프람 쟁어 교수의 실험실이었는데 쟁어 교수는 이 분야의
거장
이죠.” 1982년 자진해서 석사과정부터 다시 시작한 최 교수는 루비스코(RuBisCO)라는 식물 단백질의 결정을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다. 1984년 박사과정에 들어가서는 RNA의 특정 부분을 자르는 RNase T1이라는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9월 7일 전 세계의 이목이 한 곳에 쏠렸다. 게임계 3대
거장
중 하나로 꼽히는 윌 라이트가 ‘스포어’(SPORE)라는 게임을 내놓았기 때문이다.윌 라이트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심시티’(Simcity)라는 게임으로 이름을 알린 개발자다. 그는 2000년 가상의 가족을 꾸릴 수 있는 ‘심즈’(SIMS)라는 PC용 게임을 ...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교환한 서신과 한 교수 논문의 번역본을 보냈습니다.”데니쉬 박사는 조합론 분야의
거장
이었기 때문에 편집진들도 그가 2판을 내려다 끝내 이루지 못하고 사망했다는 걸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데니쉬 박사가 최석정 이야기를 2판에 소개하려했다는 송 교수 의견이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진 것. ... ...
부르델 조각 속 주인공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커다란 활의 시위를 당기는 역동적인 동작이, 바라보는 이의 온몸에 전율을 일으킨다.
거장
에밀 앙투안 부르델(1861~1929)의 대표작 ‘활 쏘는 헤라클레스’.그리스신화에 따르면 제우스와 인간 사이에 태어난 영웅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의 본처인 헤라의 질투를 받아 위험천만한 12가지 관문을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쏘아올린 작은 공’을 베껴 쓰면서 소설을 공부했다고 한다. 해외 유명 미술관 앞에는
거장
의 그림을 모사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다. 연주를 잘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연주를 많이 들어야한다는 건 상식이다.이같은 ‘모방을 통한 학습’의 효과적인 배후에 거울뉴런이 있다. 특정 동작을 보기만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할 브록스마이어 교수는 제대혈(탯줄 혈액)이 혈액치료에 유용함을 처음 밝힌 이 분야의
거장
. 그가 김 교수를 찾은 것은 증식력이 없어 치료범위가 제한된 제대혈의 대안으로 배아줄기세포를 생각했기 때문.배아줄기세포를 키우다보면 염색체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런지를 모르고 ... ...
대한민국 자동차신화 주인공 이충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세상에 내보내기 위해 온갖 정성으로 뱃속의 아이를 기르는 10달에 비유할 수 있다. 그는
거장
주지아로가 설계하는 과정을 하나도 놓치지 않았다. 당시 대리였던 이 전 사장은 설계 사무실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낱낱이 기록했다. 심지어 설계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제도기까지도 그림으로 남겼다. ... ...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기념해 만든 곡이다. 그동안 NASA가 우주를 탐사하며 모은 소리를 이용해 현대음악의
거장
테리 라일리가 곡을 만들었다.지금까지 우주와 관계된 모든 음악이 우주로부터 얻은 영감을 악기로 표현한데 반해 선 링즈는 실제‘우주의 소리’로 작품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그런데 ... ...
백내장이 명작 낳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그린 그림과 비슷하게 나타났다.마모르 교수는 “컴퓨터 실험 결과 인상파를 이끈 두
거장
의 독특한 화풍은 천재적인 영감에서 나왔다기보다는 그들이 본 그대로를 캔버스에 옮긴 것”이라며 “시력장애가 명작을 만드는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인상파 화가들은 1860~1890년대 프랑스를 ... ...
붓끝에 수학 듬뿍 묻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결국 피카소의 생각이 시점이 된 결과다.20세기 피카소와 쌍벽을 이루는 프랑스의
거장
마티스(Henri Matisse)의 ‘나부’(Nu au Bracelet, 1940)는 연필을 불과 10여 차례만 움직여 관능적인 여인을 표현했다.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대상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 남겨놓은 기법은 위상수학에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