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너편"(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이 개기일식은 중국서부에서 시작해 카스피해, 터키, 이집트, 리비아를 거쳐 대서양 건너편에 이르기까지 넓은지역에 걸쳐 일어나는 만큼 세계 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끌 것이다.개기일식 동안에는 평소에 감춰져 있던 태양의 또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태양의 외부대기로 ... ...
- 소금의 힘에 무너진 쇠소깍 아귀바위과학동아 l2005년 12호
- 내렸다고 해서 ‘용연’(龍淵)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소의 물길이 끝나는 지점의 건너편 암벽으로 커다랗게 파인 구멍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그 형상이 기이하고도 놀라워 저절로 눈길이 간다. 마치 못생기고 험악하게 생긴 아귀가 입을 크게 벌린 모습 같기도 하고, SF영화 속 외계에서 온 ...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발을 뻗으니 도망간다. 사방으로 발을 뻗어대며 한참 놀다 보니 시간이 훌쩍 지나갔다. 건너편에서 커다란 선글라스처럼 생긴 가상현실 장치를 쓰고 전투 게임을 즐기는 이들이 보였다.집에 돌아가려고 버스 정류장을 찾았다. 부스에 들어서니 “100번 버스는 3분 뒤에 도착합니다”라는 메시지가 ... ...
- 식인종가족의 강 건너기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처음에 강을 건너는 것은 조련사와 개고 그 다음으로 조련사가 되돌아와야 한다.이제 건너편에 있는 개 때문에 조련사는 반드시 강을 건너가야 하고, 아빠나 엄마 가운데 한 명이 강을 건너갈 수는 없으니 결국 조련사와 아이 하나가 함께 건너가야 한다. 어느 쪽을 생각해도 마찬가지니까 조련사와 ...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과학동아 l2005년 03호
- 들고 오는 초원이를 보고 손을 흔들며 옆자리를 가리킨다. 그러나 초원이는 본체 만체 건너편 식탁의 자리에 앉는다. “저런 무정한 녀석….” 무안해 하는 코치의 푸념(관객은 폭소). “얘들은 원래 자기자리를 고집하는 성향이 있어요.” 함께 식사하는 교사가 설명한다. 잠시 뒤 한 학생이 ...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원격조정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다리를 건설할 때도 GPS를 이용한다. GPS를 이용해 강 건너편 다리가 연결될 지점에 정확히 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긴 다리일수록 GPS는 꼭 필요하다.GPS속에 들어 있는 아인슈타인을 찾아보자. GPS 정보는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24개의 GPS위성이 알려준다. 이 위성은 ... ...
- 사스 정체 둘러싼 미스터리 3과학동아 l2003년 05호
- 하고 있다. 메트로폴 호텔과 함께 집단발병지로 꼽히는 홍콩 아모이가든 아파트의 경우 건너편 공사장의 인부들은 감염되지 않았다는 점도 공기를 통한 전파를 반박하는 증거로 제시되고 있다. 홍콩 방역당국은 처음에는 쥐를 통해 감염되지 않았을까 추정했으나 쥐에서는 사스바이러스가 검출되지 ... ...
- 0.3초만에 시선 사로잡기 간판의 과학과학동아 l2003년 04호
-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보행자에게 지각되기 쉬운 시각매체는 보행 도로측의 높이 0-5m, 건너편 도로측 높이 5-10m 부분에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걸어가는 방향에서 5m 이상의 높이에 표지되는 옥외광고물은 의미 없으며, 도로측에서 5m 이하나 10m 이상의 높이에 표시된 간판은 사람들에게 보일 기회가 ...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과학동아 l2003년 01호
- 전달했다. 현재 세종문화회관 근처와 광화문 사거리, 그리고 광화문 우체국 건너편에 집을 지어 여기에 모두 북과 징을 설치했다. 자격루에서 북과 징 소리가 울리는 즉시 문지기들은 자기가 담당한 북과 징을 울려 소리를 전달해 보신각에 시간을 알렸다. 이런 식으로 한양 사람들은 새벽 4시경 ...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02년 10호
- 중요한 연구과제다.우리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증가를 걱정하고있듯이 우주 저 건너편에서는 쌓이는 모래를 걱정하며 대책을 세우고 있는, 멀더가 말한 규소 생물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를 비롯한 지구의 생물들은 아마도 그 규소 생물을 만나게 될지도 모르는 먼 미래에도 지금과 같은 ... ...
이전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