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인"(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인간의 유골과 함께 발견됐다. 미셸 로르블랑셰는 저서 ‘예술의 기원’에서 이것을 “고인에게 바치는 헌납품”이라고 해석한다.영국에서는 길이가 30cm나 되는 ‘쓸데없는’ 주먹도끼(오른쪽 사진, 런던자연사박물관 소장)도 나왔고, 의도적으로 원이나 곡선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활용해 다듬은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보(댐)를 건설하면 수위는 높아지고 강물이 흘러가는 속도는 느려진다(막히니까). 그럼 ‘고인 물은 썩는다’는 상식대로 오염이 더 심해질 가능성이 높았다. 이 정도는 대학 1~2학년 수준의 환경공학 개론만 들어도 누구나 알 수 있는 내용이었다.4대강 사업을 추진한 정부도 이런 상식을 몰랐을 리 ... ...
- 도심의 숨구멍, 환풍구를 안전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나면 뜨거운 불보다 유독가스와 연기가 더 위험하다. 환풍구가 있으면 지하 공간에 가득 고인 가스와 연기는 환기 시설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독가스 사고나 테러가 일어났을 때도 환풍구를 통해 강제로 공기를 뽑아내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환풍구도 변하고 나도 변해야 안전 ...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중국에서 온 피야오웨닝(바이오및뇌공학과 2년)은 지역명문고인 연변제1고를 최고 성적으로 졸업하고 KAIST를 왔다. 웨닝은 “칭화대나 베이징대를 나오면 중국에서 취업하기 좋지만, 좀 더 국제화된 분위기에서 학교를 다니고 싶어 KAIST로 왔다”고 말했다. 그녀는 ... ...
- 큰빗이끼벌레, 너 정말 억울하니?과학동아 l2014년 08호
- 4대강 공사로 갑자기 나타난 것도 아니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범도 아니다. 그저 고인 물에서 얌전히 자라는 태형동물 일 뿐이다.하지만 환경단체에서 단순히 못생겼다는 이유로 이 동물에 주목한 건 아니다. 큰빗이끼벌레의 증가는 강물 상태가 점점 나빠지고 있음을 뜻한다. 2002년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와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다. 반면 논, 웅덩이, 수로, 늪지대처럼 자연에 있는 고인 물에는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를 비롯한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금빛숲모기(Aedes vexans) 등이 살아간다. 또 숲에는 흰줄숲모기(Aedes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나쁨)으로 분류한다. 17.4ppm은 그만큼 최악의 상태를 의미한다.1998년, 시화호는 결국 ‘고인물’ 정책을 포기하고 호수의 물을 방류하기 시작했다. 갇혀 썩은 물이 바다로 흘러나가고, 대신 신선한 새 바닷물이 들어와 호숫물을 희석시켰다. 섞이는 양은 전체 호수의 수량에 비하면 미미한 편이었지만, ... ...
- 맹꽁이 VS 두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어요. 또 온몸에는 오돌토돌한 작은 돌기가 나 있답니다. 2~3월이면 저수지나 물이 고인 논에서 짝짓기하여 알을 낳고, 번식기가 지나면 숲 속 그늘진 곳이나 낙엽 밑 등 땅에서 주로 생활해요. ‘콕 콕 콕’, ‘콕 콕 콕’하는 조금 높은 소리를 불규칙적으로 내며 운답니다. 두꺼비는 피부에 난 ...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규모까지는 아니지만, 일본에 화산재를 날려 보낼 정도였다. 이번 분화는 나리분지에 고인 물과는 상관이 없었다. 엄청난 양의 마그마가 빠른 속도로 뿜어져 나오며 폭발한 것으로, 마그마가 올라오는 길이 깨지면서 수m 크기의 암석 조각과 물에 뜨는 다공질 부석 등을 비롯해 많은 화산재를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예가 LED 전구의 물고임 현상이다. 양계장의 잦은 소독과 물청소로 전구 안에 물이 고인 것이다. 화재나 누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 2012년부터는 방수 LED 전구를 보급했다.더 큰 문제는 닭들의 반응이었다. 가장 먼저 닭들이 LED 전구 밑에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닭이 밝은 곳을 좋아하기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