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폴리스티렌, 미세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오늘은 분리수거하는 날! 컵라면 용기가 재활용인지, 일반쓰레기인지 헷갈려서 용기를 자세히 들여다보니 숫자 6이 적힌 마크가 눈에 띄어. 이 숫자는 뭘 뜻하는 걸까? 플라스틱 용기 겉면에는 삼각형 모양의 재활용 마크와 숫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마크 속 숫자는 제품을 만드는 데 어떤 종류 ... ...
[도시공해] 도심의 생태계 괴롭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환경을 제공하는 산호초도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지난해 영국 플리머스대학교 해양생물
과학
부 데이비스 토마스 박사팀은 해안 도시에서 나오는 인공조명이 산호초의 번식을 방해해 전 세계 산호초의 25%가 위험에 처했다고 밝혔어요. 산호초는 달빛의 세기에 따라 산란일을 조절하는데, 빛 공해에 ... ...
[
과학
뉴스] 인류의 조상이 두 발로 걸을 수 있었던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유인원과 인간을 구별하는 핵심 요소예요. 인류가 언제부터 직립보행을 했는지 많은
과학
자들이 밝혀내려 했지만 유인원의 화석이 부족해 알아내지 못했어요. 그러던 중 320만 년 전 지구에 찾아온 빙하기 덕분에 인류의 조상이 두 발로 걸을 수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1월 29일 발표됐습니다. 미국 ... ...
[기획] 크게, 더 크게 풍선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안녕! 난 햄스터야. 풍선껌을 부느라 볼이 빵빵해진 거 보이니? 풍선껌에 숨은
과학
원리를 알면 풍선껌을 훨씬 크게 불 수 있어. 나와 함께 풍선껌을 더 재밌게 부는 법을 알아 보자.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1977년부터 매년 전 세계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1952년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
자였던 클로드 섀넌이 처음으로 테세우스라는 로봇 쥐에게 미로를 풀게 한 것이 시작이었죠. 공학자들이 로봇 쥐에 열광하는 이유부터 로봇 쥐가 미로를 빨리 통과할 수 있는 비결까지, 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 ...
[포토뉴스] 수염고래가 물속에서 소리내는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흐린 바닷속에서 소리로 대부분의 의사소통을 한다. 코엔 엘레만스 남덴마크대 생명
과학
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수염고래의 발성 원리가 독특하게 진화한 후두에 있다는 연구를 2월 2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4-07080-1 육상 포유류는 대개 식도와 기도가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가족입니다. 우리가 이해하는 바다생물의 비밀은 극히 일부입니다. 바다생물에 대한
과학
적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지 않는 환경보호 인식을 가졌으면 합니다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며칠 전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미국 브라운대학교 지구환경 및 행성
과학
과 연구팀은 산사태 예측에 주로 사용하는 ‘핀볼 모형’을 이용해 단층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예측했다. 공이 여기저기 부딪히며 이동하는 ‘핀볼 게임’에서 따온 단어로, 돌이 핀볼처럼 굴러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투표한 사람은 다음에도 같은 선택을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김재광 KAIST 수리
과학
과 교수가 계산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예측 결과를 보면 베이즈 정리의 효과가 드러난다. 김 교수는 당시 JTBC 여론조사 결과에 2012년 대선에서 그 지역의 당별 투표율을 반영해 선거 결과를 ... ...
[다시 쓰는
과학
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표준모형 너머의 물리학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이게 전부가 아니다. 인류 역사 내내
과학
자들은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모든 현상을 더 근본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계속해서 질문을 던져왔다.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현상 뒤에 숨어있는 자연법칙은 뭘까. 물질을 쪼개고 쪼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