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르침
훈계
설교
강론
교육
교시
훈회
d라이브러리
"
교훈
"(으)로 총 2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그날의 김치찌개는 먹을 수 없게 됐지만 ‘소금을 넣으면 다른 맛이 살아난다’는
교훈
은 확실하게 얻었다. 이것이 바로 허니버터칩의 비법이다.기자의 경험대로 적당한 짠맛은 음식 전체의 풍미를 돋운다. 특히 짠맛은 단맛과 궁합이 좋다. 또 적당량의 소금은 카페인, 염산키니네, 황산마그네슘 ... ...
자연이 주는
교훈
“Let it be!”(내버려 두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생물과 미생물에 의해 자연 분해되고 제거되기 때문이에요.순천만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교훈
“Let it be!”한때 순천만은 1990년대 후반 새만금이나 시화호처럼 방조제 설치와 매립, 골재 채취 등 개발이 검토된 적이 있어요. 바닷물을 막아서 갯벌을 농경지나 산업용지로 쓰려고 했대요. 그러나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안 좋은 일이 생긴다’는 것은 확실히 알려줬을 것 같다.피노키오 이야기는 어린이에게
교훈
을 줬을까하지만 가장 크게 느꼈던 것은 거짓말 자체에 대한 죄의식이 아니라 단순히 ‘처벌에 대한 공포’였던 것 같다. 정확히는 거짓말을 ‘들키면’ 안 좋은 일이 생긴다는 걸 배웠다. 결국 이런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발견했을 때 충격이 컸다.엔셀라두스의 사례를 통해, 과학자들은 한 가지 중요한
교훈
을 얻었다.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에는 제약이 적다는 사실이다. 생명은 우주 곳곳, 우리의 상상보다 훨씬 다양한 곳에 살 가능성이 있다. ‘외계 위성’에 주목한다태양계의 행성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사건으로 만들려다보니 모순에 빠져 버린 거지요. 그냥 신화로 보고 그게 상징하는 바나
교훈
이야기만 하면 괜찮았을텐데요. 영화도 그냥 영화로 보고 말이죠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내부에서 문제가 해결되고 있다는 점은 이 사건으로부터 우리 사회가 배웠으면 하는
교훈
이다. 이러한 과학적 논란이 벌어질 때마다 황우석 사건을 떠올리는 대신, 과학이 그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지켜보고, 더 나아가 그 행위들을 일으키는 사회적 구조를 직시했으면 하는 것이다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시청자들은 노 배우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서 단순히 재미만이 아닌 인생의 연륜이 담긴
교훈
을 배울 수 있었다. 여기에 만능 짐꾼 이서진이 동참하면서 꽃보다 할배는 동시간대 예능 프로그램 가운데 최고의 시청률을 올렸다.꽃보다 할배가 흥행 대박을 일으키면서 중장년층의 여행기를 담은 다양한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공평한 분배가 실제로 적용되려면 거짓 없이 자신의 무기 가치를 밝혀야 한다는
교훈
을 얻을 수 있다.공평하게 땅을 나눠 가져도 땅이 남는다?! 전쟁에서 두 강대국이 무기를 감축하는 것 이외에 공평한 분배 문제로 자주 일어나는 일은 바로 영토를 공평하게 분배하는 일이다. 땅에 대한 서로의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극적인 막후 외교채널의 가동과 양자 화해로 귀결됐다는 점에서 제1차 세계대전의
교훈
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분명 앞으로도 인류는 피할 수 없는 시스템의 긴장과 임계상태로의 접근을 여러 번 겪게 될 것이다. 그 속에서 파국을 저지할 것인지, 아니면 또 다시 거대한 관성에 휩쓸려 파국으로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한번만 부딪혀도 여러 줄무늬는 두 개의 줄로 바뀐다.여기서 우리는 아주 중요한
교훈
을 얻을 수 있다. 관측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는 거다. 아니 지능을 가진 어떤 존재도 아니다.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부딪혀서 어느 슬릿을 지났는지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