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가
전문가
선각자
명수
태두
대지도자
지도적인 인물
d라이브러리
"
권위자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한국과학상에 강현배 씨 외 4명 수상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물리 부문의 이 교수는 광결정 물리광학 분야의 국내 정상급
권위자
로, 물리적으로 가장 작은 공진기에 근접하는 레이저 모습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화학 부문 수상자인 윤 학장은 나노 및 마이크로 입자를 조작해 다양한 신물질을 만드는 소재과학을 개척한 공로가 ... ...
전공에 맞는 일관성 있는 활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전공하고 싶은 분야가 나타나면, 그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나 최고
권위자
의 자서전과 저서를 읽도록 한다. 독서활동만큼 중요한 봉사활동 독서활동만큼 중요한 것이 봉사활동이다. 봉사활동은 자신이 결정한 인생 목표에 걸맞는 인격을 형성하는 과정이며, 사회적인 리더가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전 도쓰카 요지 교수가 남겼던 글들을 모아 발간했다. 그는 소립자물리학의세계적인
권위자
로 죽음을 눈앞에 둔 시간 속에서 현대 물리학의 핵심주제에 대해 간결하게 썼다. 차세대 과학도들에게 꺼지지 않는 혼과 열정이 담긴 아름다운 유산이 될 것이다.지구를 생각한다한국과학창의재단 기획 | ... ...
별똥에서 소리가 났다는 기록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때가 가장 많죠.” 고려와 송나라의 유성기록을 분석한 안 박사의 자료는 유성 연구의
권위자
인 미국 세티(SETI)연구소 피터 제니스켄스 박사의 2006년 저서 ‘유성우와 그 모혜성’에도 실렸다.한편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양흑점 변화가 잘 기록돼 있어 과거 기후 변화와 흑점 변화의 관계를 연구하는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함께하며 주목할 만한 연구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방사광 가속기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인 스위스 로잔공대 마가리톤도 교수, 대만 중앙연구원 후 교수와 국제컨소시엄을 구성해 연구하고 있다. 이 같은 협력으로 포항방사광가속기, 대만중앙방사광가속기, 스위스방사광가속기,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존재를 보고하기 시작했고, 이후 더 많은 ‘운하’들이 화성 지도에 나타나게 됐다. 일단
권위자
가 무엇인가를 발견했다고 알려지면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관측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척도로 망원경의 성능보다 다른 조건들이 더 중시되던 당시 분위기에서는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결과를 보여주겠다는 오기가 생기더군요. 그 때 마침 미국 미네소타대 보건대의 역학
권위자
인 데이비드 제이콥스 교수를 알게 돼 공동연구를 하게 됐습니다.”이 교수와 제이콥스 교수는 관상동맥질환에 관한 역학자료인 카디아(CARDIA)자료를 분석해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그 뒤 다른 자료들에서도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괜찮은가요?” 소소한 일상에서조차 빛에 관한 애정을 드러내는 광자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인 박 교수를 4월 초 서울대에서 만났다.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에 논문 게재박 교수는 최근 주목 받는 연구 성과 하나를 올렸다. 빛의 세기를 1억 배 키우는 혁신적인 실험 결과를 담은 논문의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헤쳐가려는 여성 공대생의 ‘역할 모델’이다. 최 교수는 음성인식 컴퓨터 연구의
권위자
로 꼽힌다. 오늘의 그를 만든 건 바로 자신감이다.“여자라서 공대에서 생활하기에 어려운 점이 없었냐고요? 물론 없진 않았죠.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에 얽매이느냐 얽매이지 않느냐라고 생각했습니다. ... ...
오염 토양 살리는 ‘사회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선택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가 천천히 입을 뗀다. 박 교수는 토양오염 처리 분야의
권위자
다. 국내외 특허 23건을 등록하고,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논문도 25편이나 게재할 정도로 이 분야 학계에선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나이아가라 폭포 아시죠? 그곳 주변에 운하를 파는 사업이 20세기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