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상
천문
도시기후
도시
동안기후
d라이브러리
"
기후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벌레들의 대량발생 방제보단 공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벌레들의 대량발생은 하루살이뿐만이 아니에요. 최근 몇 년간 털파리, 대벌레, 매미나방 등 여러 종의 벌레가 곳곳에서 대규모로 나타났습니다. 자꾸만 반복되는 대량발생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방제는 일시적 미봉책 2022년 7월, 서울시 은평구에서는 일명 ‘러브버그’라고 불리는 털파리가 ... ...
[통합과학 교과서 ] 구해줘! 잭의 콩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극지연구소 이은정 박사는 “앞으로 남극의 곰팡이가 병원균으로 활성화하는 데
기후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로 분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이는 미유기가 높은 수온에 취약하다는 걸 뜻해.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김강래 박사는 “
기후
변화로 인해 최근 바다와 강의 수온이 높아지고 있어 미유기의 산란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강의 수온이 올라가면 알을 낳는 시기에 교란이 와 개체수가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했어.Q. 이번 연구는 ... ...
[기획] 더워지고 밝아지는 도시, 하루살이 부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되려 그 자리에 살던 하루살이를 보고 혐오하는 셈”이라고 표현했지요. 또한 이상
기후
도 잦은 대량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요. 김동건 교수는 “최근 3년간 큰 태풍이 오지 않아 하루살이 유충들이 퍼지지 못 하고 한 곳에 뭉쳐 밀도가 늘어났다”고 설명했어요. 수온이 상승하며 성충이 ... ...
[기획] 불빛에 몰려드는 벌레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해가 지기 시작하는 오후 대여섯 시부터 강한 불이 있는 곳이라면 하루살이가 하나둘 몰려들기 시작합니다. 보통 공원이나 가게, 야구장 등 밝은 불빛이 있는 장소에서 하루살이 떼를 흔하게 볼 수 있죠.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하루살이 떼의 정체는 ‘동양하루살이’입니다. 동양하루살이는 5~6월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중 2100년까지 살아있을 사람은 몇 없을 것이나, 그것이 우리가 22세기의 미래 세대에게
기후
변화에 대한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거주민 조사를 2025년까지 마치려고 계획 중이다. 도시 변화에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기후
변화는 그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동안에도 지하에는 사람이 산다. 김 씨는 “그나마 운이 좋았던 게 집에 있을 때 침수가 일어났던 것”이라고 말했다. 운이 나빴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바르는 보습제까지. 생활 곳곳에서 인류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주는 석유화학 산업이
기후
위기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변환을 요구받고 있다. 국제사회가 2015년 파리협정을 채택하고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 0을 달성해 탄소중립 사회를 이룩하기로 협의한 것이 대표적이다. 현재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개인이 하루에 쓰는 물의 양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만들면 물 절약에 도움이 돼
기후
위기를 늦출 수 있다”라고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그는 학교에서 쓰는 실험 시약 사용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발명품을 고안했어요. 학교에서는 시약 사용량을 수기로 관리해서 실제 쓴 양과 오차가 있는데 ... ...
[과학뉴스] 홋카이도 마리모,
기후
변화 탓에 ‘야위었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인해 아칸호의 수온이 계속 상승한다면 대형 마리모 군락은 멸종할 것”이라며 “
기후
위기에 직면한 대형 마리모 군락을 지키기 위해선 아칸호로 흐르는 강물 흐름을 저온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