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사"(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우리가 차를 탈 때 항상 만나는 소재로 만들었어요. 이런 브로치도 자동차에 쓰이는 나사로 이뤄져 있답니다.”옷뿐만이 아니었다. 건물의 천장과 계단에서 벽면까지 모두 자동차에 쓰는 재료로 만들어져 있었다. 유 구루는 “쇳물에서 자동차로, 다시 재활용 고철로, 자원이 순환하는 ‘제로 투 ... ...
- 내가 직접 만드는 디지털카메라 ‘빅샷’으로 찰칵 찰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조립하면서 원리를 배우고, 재미있게 사진 찍게 하기 위해서였어요. 드라이버로 나사를 조이면서 카메라 본체와 회로판, 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렌즈, 3차원글라스 등을 끼워 맞춰 카메라를 만든답니다. USB로 컴퓨터에 연결해 충전할 수 있어요. 또 카메라 손잡이를 돌리면 자체적으로 충전할 수도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연구팀은 종다양성을 비행기 표면의 철판을 하나로 묶어주는나사인 ‘리벳’에 비유하더구나. 리벳 하나가 풀어져도 비행기는 얼마 동안 아무 일도 없는 듯이 잘 작동해. 그러나 조금씩 비행기 구조가 약해지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리벳 하나가 빠진 것 때문에 비행기가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누르는 방식, 흔드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있어. 돌려서 심이 나오는 방식은 돌리면 나사처럼 둥글게 파진 빗면을 따라 심을 잡고 있는 부분이 내려오면서 심이 나오는 원리야. 돌리면 나오는 색연필을 생각하면 쉬워.누르는 샤프는 윗부분 혹은 옆 부분의 버튼을 누르면 아래 심을 잡고 있는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방법은 당연히 없다. 주인공보다 먼저 인류가 살기 적합한 외계행성을 찾아 나선 나사로 대원 12명의 희생은 숭고했다. 그들은 어느 날 갑자기 토성 근처에 나타난 웜홀을 통과해 무작정 먼 우주로 떠난다. 각각의 행성이 실제로 어떤지 아무 것도 모른 채. 무모하게 보이는 이들의 탐험에는 다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가려 잘 보이지 않는 천체까지도 잡아내 생생한 우주사진을 찍을 수 있다.특히 이번에 나사가 공개한 사진은 총 20기가 픽셀로, 지구에서 보이는 별들의 무려 3%, 우리은하 별들의 50% 이상을 담고 있을 정도로 방대하다. 우리은하 지도라고 봐도 될 정도다. 실제로 이 사진을 인쇄하면 미식축구 경기장 ... ...
- 달에서 찍은 영화, 8분이면 지구로 “슝”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수 있는 622Mbps의 속도로, 현재 같은 임무를 수행중인 전파 통신 장비보다 6배 정도 빠르다.나사가 레이저 통신에 주목한 것은 속도 때문. 전파 자체의 한계 때문에 더 이상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없게 되자, 빛을 이용하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빛은 전파와 같은 전자기파지만, 더 빠르고 촘촘하게 ... ...
- 죽었다가 부활한 ‘나사로 혜성’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소행성대가 혜성의 무덤이며, 이곳에서 죽은 혜성이 부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콜림비아 아니토퀴아대 연구팀은 화성과 목성사이의 소행성대에서 혜성 12개를 발견했다. 이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수백만 년 전 소행성대가 혜성으로 가득 차 있었다는 가설을 세웠다. 오늘날 ... ...
- 동물행동학 - ‘도둑들’의 김혜수 능가하는 앵무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부리나 발로 움직일 수 있는 자물쇠를 고안했다. 이 자물쇠를 풀기 위해서는 핀을 뽑고 나사를 잠근 뒤, 볼트를 풀고, 바퀴를 90° 돌린 다음 빗장을 옆으로 밀어야 했다. 자물쇠를 풀면 앵무새가 좋아하는 견과류를 먹을 수 있었다.총 6마리 앵무새로 실험한 결과 ‘피핀’이라는 수컷 앵무새가 가장 ...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임무를 설계하거나 유인 우주비행을 계획할 때 도움이 될 예정이다. 존 그룬스펠드 나사 과학협조관은 “밴 앨런 대가 어떻게 하전입자로 채워지고 변화하는지 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