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널판
널빤지
판자
관
널반지
널판지
나무판자
d라이브러리
"
널
"(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우리 결혼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손으로 만든 은반지가 최선이지만, 마음만큼은 1캐럿 다이아몬드를 해 주고 싶을정도로
널
사랑해! 나랑 결혼해 줄래?” 이렇게 자기를 잘 알고 사랑해 주는 남자를, 소녀도 놓칠 리 없습니다. “그렇게 말해줘서 고마워. 나도 좋아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어요.한편 일본의 과학자들은 지진을 예측하기 위해 지하 5km까지 터
널
을 뚫은 뒤 응력계를 설치했어요. 실시간으로 지층에 걸리는 힘을 파악해 지진 순간을 예측하기 위해서지요. 응력계는 지층의 탄성과 에너지를 측정하는 기계예요. 과학자들은 이 기계로 얻은 자료를 분석해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혈액 내에 사랑의 호르몬으로 알려진 ‘옥시토신’ 농도가 올라간다는 것은 이미
널
리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이런 일이 개와 사람 사이에서도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답니다.일본 아자부대 키쿠수이 타케푸미 교수팀은 개 30마리를 연구실로 초대해 주인과 30분 동안 놀게 했어요.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정도를 인식해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섬유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
널
머티리얼스’ 4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 전도성 섬유는 신축성이 떨어져 늘리면 전기적 특성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연구진은 고무재질의 고분자물질과에 은나노 와이어를 섞은 뒤 이것을 ... ...
[수학뉴스] 연필과 종이로 만든 센서가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수학 문제를 풀다 보면 답지를 보고 싶은 충동이 들 때가 있습니다. 답지를 펼쳤을 때 경보음이 울리는 센서가 있다면, 아마 많은 부모님이 구입할지도 ... 데 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신소재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
널
머티리얼스지’ 3월 11일 자에 실렸습니다 ... ...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폭이 2m인 강을 만났지. 거기엔 길이가 1.9m인
널
빤지 두 개만 있었어. 어떻게 하면 강을 건
널
수 있을까?”썰렁홈즈의 패배를 예상한 양들은 눈물을 흘리며 떨기 시작했다. 늑대에게 잡아먹히느니 강물에 풍덩 빠지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었다.늑대가 나타났다~!“으하하하, 다 맞혔다. 순순히 양들을 ... ...
철썩 철썩 쏴아~ 아름다운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밀려와요. 우리나라는 호주나 인도네시아, 일본이 가로 막고 있어 큰 파도가 없답니다.
널
빤지 같은 보드로 파도를 타는 ‘서핑’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파도가 무척 중요해요. 그래서 다양한 파도에 이름을 붙였는데 특히 해변 바로 앞까지 크게 밀려와 둥글게 부서지는 파도에 ‘쇼어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볼까? 안 됐지만 닥터 그랜마! 그건 어려울 것 같아요. 최근 트랜스지방에 대한 위험성이
널
리 알려지면서 인스턴트식품 안에 우리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포장지에 꼭 표시하고 있거든요. 그러니 친구들도 빵이나 과자 같은 인스턴트식품을 살 때에는 우리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꼭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될 수 있단다. 저 창 밖의 늑대처럼.”생물은 모두 노화를 겪는다저 늑대는 너희 엄마가
널
낳았을 무렵, 내가 이 숲속 오두막에 홀로 들어왔을 때부터 있었어. 그 땐 은회색으로 멋지게 빛나는 털과 탄탄한 몸을 자랑하던 젊은 녀석이었단다. 나와 오래도 싸워댔었지. 닭을 키우면 닭을 물고 가,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25년을 사는데, 작은 포유동물치고는 매우 긴 편이라 바이러스가 천수를 누릴 수 있다. ❹
널
리 퍼져 있다. 인간과 설치류를 제외하고는 가장 넓은 영역에 걸쳐 살고 있다. ❺ 늘 체액을 분출한다. 길을 찾기 위해 초음파를 내는데, 이때 코에서 바이러스를 담은 분비물이 나온다.박쥐는 바이러스를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