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운영하는 고에너지 물리학자들이 오랫동안 예산을 독점적으로 썼다고 공격했습니다. SSC 덕분에 다른 유망 분야인 레이저, 응집물질, 초전도 과학 쪽으로는 예산이 돌아가지 못했다는 거죠. SSC 계획 취소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맞물리는 과학 프로젝트의 예산 배분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주는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학창시절에 만난 수학자 덕분에 수학의 길을 걷게 됐고, 그동안 만났던 수많은 수학자 덕분에 재밌게 이 길 위에 계속 서 있을 수 있었어요. 세상 많은 일이 그렇듯, 수학도 혼자 하기엔 너무 힘들고 외로운 길이거든요. 수학은 추상적인 대상일지 몰라도, 수학을 이루는 것은 이 공동체에 있는 수많은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공식 뮤직비디오와 최대한 비슷한 느낌을 내면서 로블록스의 특색을 녹여 만든 덕분에 구독자들이 댓글로 좋은 반응을 보였던 기억이 납니다. 이뿐만 아니라 드라마 스토리를 직접 구성한 뒤 로블록스 드라마로 제작해 유튜브 채널에 올리고 있답니다. 로블록스가 제페토 등의 다른 메타버스와 ... ...
- 움직이는 만화, 애니메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애니메이션 영화를 만들 수 있어요. 바로 컴퓨터 그래픽(CG) 덕분이지요. 그런데, CG를 활용할 때도 수학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예를 들어, 어떤 캐릭터가 땅에서 나무 위로 날아가는 모습을 나타낸다고 생각해 봐요. 캐릭터가 땅에서 나무 위로 날아가는 ... ...
- [질문하면 답해ZOOM] 지구온난화라는데 왜 겨울이 더 추워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있는 동안 1분에 20번 정도 눈을 깜빡여요. 눈은 하루 종일 분비물을 만들지만, 깜빡임 덕분에 안구 표면에 노폐물이 쌓이지 않아요. 하지만 자는 동안에는 오랜 시간 눈을 깜빡이지 않기 때문에, 눈꼬리와 속눈썹 라인을 따라 분비물이 쌓인 채로 굳어 눈곱이 생기지요. 눈곱이 끼었을 때 손으로 눈을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름(종소명)을 나란히 적고, 기존의 다른 학명과 겹치지 않도록 지어야 하죠. 이 규칙 덕분에 전 세계의 모든 생물은 각각 다른 학명을 갖게 되었어요. 학명은 종의 겉모습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아요. 2015년, 인도의 카르나타카 주의 숲에서 발견된 한 거미에게는 ‘에리오빅시아 그리핀도리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받은 것도 이런 제 노력이 우리나라의 자연문화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고 인정해주신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Q숨겨진 종을 발표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곤충에겐 국경이 없어요. 태국, 베트남 등에 사는 아열대성 곤충이 우리나라에서 발견될 수 있죠. 곤충이 정확히 어떤 종인지를 파악해야 우리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범용인공지능(AG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필요합니다. 인공지능 때문에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예측부터, 반대로 인공지능 덕분에 새로운 일자리가 끊임없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어요. 더 나아가 인공지능 때문에 인간이 일자리를 잃는다면 일을 하지 않더라도 기본 소득을 제공해 줘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죠.인공지능의 ... ...
- [출동! 기자단] 트랙으로 창의력을 겨루자! 제2회 그래비트랙스 창의력 경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김윤아 독자 팀 승리! 김윤아 독자가 바퀴벌레 로봇의 속도에 맞춰 부품을 열심히 조작한 덕분에 승리할 수 있었죠. 액션 스톤을 빠르게 굴려라!독자 기자들이 경산수학체험센터 강당에 들어섰을 때, 무대에선 제2회 그래비트랙스 창의력 경진대회가 펼쳐지고 있었어요. 이날 대회에는 지난 9월 ... ...
- [꿀꺽! 수학 한 입] 딱 들어맞게! 테셀레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3호
- 유명해진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어. 바로 ‘테셀레 이션’, 우리말로는 ‘쪽매맞춤’ 덕분이야. 같은 모양의 조각들로 공간을 겹치지 않게 빈 틈없이 채우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하지. 우리가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벌집이 나 보도블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테셀레이션을 만들려면 모양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