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장"(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몇 번째 사귄 사람과 결혼할까? 비서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구하고자 하는 확률은 곱의 법칙에 따라 5/6 × 1/10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A가 8번째에 등장할 때 결혼할 확률은 5/7 × 1/10 이고, 9번째는 5/8 × 1/10 이고, 10번째는 5/9 × 1/10이다. 지금까지 계산한 모든 확률을 더하면 앞으로 A와 결혼하게 될 확률이 구해진다. 그 값은 1/10 + (5/6 × 1/10) ...
- 원숭이가 책을 쓴다고? 무한 원숭이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을 증명하고, ‘무한 원숭이 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어느 순간 무한 원숭이 정리에 등장하는 ‘완벽한 책’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또는 으로 바뀌어 소개되고 있다. 원숭이 떼가 바나나를 칠 확률은 100% ‘banana’를 한 번에 입력하려면 원숭이 몇 마리가 필요할까? 무한 원숭이 ...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만화 ‘신의 책’의 해설을 맡은 김정한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입니다. 만화에서 등장하는 신의 책이 무엇인지 궁금하셨을 텐데요. 20세기 저명한 수학자 중 한 분인 에르되시 팔은 위와 같이 말한 바 있어요. 신의 책은 에르되시가 자주 쓰던 말이에요. 그는 신이 있다면 아마도 수학 ... ...
- [가상 인터뷰] 물곰 족보에 등장~. 그린란드에서 신종 물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물곰 족보에 새로운 종이 등장했어. 아주 추운 그린란드의 이끼에서 발견된 물곰이지. 이 물곰이 물곰의 진화의 비밀을 밝힐 단서가 될 수도 있다는데…?!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새롭게 인간에게 알려진 ‘라마조티우스 그로엔란덴시스’야. 극지연구소 김지훈 연구원팀이 2019년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과연 이 우주선은 어디에서 온 걸까요? 영화 에서 거대한 몸집으로 등장한 모사사우루스를 알고 있나요? 모사사우루스는 중생대 백악기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로, 종마다 크기가 다양하다고 알려졌어요. 모사사우루스들의 크기와 체중을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대부분의 생물은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doi: 10.1038/s41586-023-06589-1 테이아는 달의 기원을 설명하는 ‘거대 충돌 가설’에 등장하는 화성 크기의 가상 천체다. 거대 충돌 가설은 약 45억 년 전의 원시 지구에 테이아가 충돌하면서 만들어진 잔해가 우주로 날아가 뭉쳐져 달이 됐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테이아가 실제로 충돌했다는 증거를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활용 능력과 연관있는 것이 아니라, AI에 대한 사전 교육이 잘 된 사람일수록 새로운 AI의 등장에 빠르게 발맞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는 ‘AI 리터러시’ 격차로도 설명할 수 있다. 리터러시는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라는 뜻으로, AI 리터러시는 AI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일기를 그렸지만 많은 부분이 각색됐습니다. 이에 작가는 ‘요다 작가’로, 웹툰 속 등장인물은 ‘병아리 요다’로 표기했습니다.)PPT를 만드느라 실험할 시간이 부족하다! 제안서를 쓰느라 논문 읽을 시간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능력을 갖춰 학위를 받아라! 대학원 ‘찐’ 생활을 A부터 Z까지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보다 훨씬 많았다. 같은 기간 ‘행복하다’, ‘기쁘다’ 등 행복 관련 단어는 73만 4397회 등장했다. 치킨을 함께 먹는 인물로 가장 많이 언급된 이는 친구(52만8728회)였다. 치킨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니 상관계수가 0.78로 관련이 깊었다.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 상관계수는 절댓값이 0.4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사를 살펴보는 거예요. 예를 들면 에우클레이데스(기원전 4세기경)의 에 등장하는 평행선 공준에만 초점을 맞춰 보는 거지요. 에우클레이데스가 정의한 것부터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자가 어떤 비판과 새로운 시도를 해왔는지만 살펴봐도 좋은 공부가 됩니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