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말기"(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2m를 넘지 않고, 전형적인 상어 모양을 하고 있어. 이 형님은 2억 9,000만 년 전인 석탄기 말기에 지구에서 사라졌지. 현재의 바다 속에 살고 있는 여러 종류의 상어가 나타난 건, 약 1억 년 전 백악기 후기야. 이후 상어는 약 400종에 이를 만큼 다양하게 진화했지. 어때? 고생대부터 지금까지 굳건히 ...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반복적으로 투여하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생겨 치료를 지속하기 힘들다. 또 말기 암 환자의 경우 면역기능이 너무 약해 바이러스를 넣어도 괜찮은지를 완벽히 증명하지 못했다. 또 바이러스 항암제를 써도 살아있는 암세포는 여전히 많다. 워낙 돌연변이가 많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이들을 모두 ...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년 10호
- 448년 세종대왕은 절대강국을 꿈꾸며 비밀무기를 제작한다. 이는 고려 말기 발명가이자 과학자였던 최무선이 만든 무기중 ‘주화’ 라는 로켓 무기를 개량한 ‘신기전’ 이다. 신기전은 실존했던 조선의 첨단과학기술의 상징과도 같다. 여기 신기전을 발명하는 상세한 과정과 약간의 상상 속 ...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천재에게 꼭 맞는 교육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다면 타고난 천재성은 조기에 사장되고 말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천재성 또는 영재성을 구성하는 특성은 무엇일까. 렌줄리 교수는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 창의성, 과제집착력’의 세 가지 특성을 제시했다. 세 가지 특성이 중첩되는 부분이 많을수록 ... ...
- 폴링 스카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제시한다. ‘가위’라는 말에 ‘오, 그런 비과학적인 이야기를!’하며 거부감을 갖지 말기를. 가위는 유사 이래 인류가 보편적으로 겪어온 램수면 이상 증상이니까. 외계인 납치 보고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은 다음과 같다. 밤에 잠을 자다가 눈을 떴는데 몸이 마비되어 움직일 수 없다. 이상한 ... ...
- 눈으로 배우는 화학!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길이가 50cm나 되는, 공연용 칼을 식도에 밀어 넣는 ‘엽기적인’ 쇼였다(절대로 흉내내지 말기 바란다). 전문 공연예술가인 댄 마이어 씨의 작품인데, 그는 이 공연을 하다가 목에 난 상처를 방사선 전문의와 함께 연구해 세계적인 의학저널 ‘영국의학저널(BMJ)’에 논문을 실어서 2006년 이그노벨상을 ... ...
- 수학으로 고대인구 계산한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했다. 홀로세(1만 년 전~현재) 말기의 원주민 인구수 변화는 아직 논쟁중인 주제다.탄소연대측정법으로 유물의 연대를 측정해 인구수를 계산하면 호주에서는 지난 1만 년 동안 인구가 크게 늘어났다는 결과가 나온다. 그러나 오래된 유물은 ...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사회학자 마크 코헨은 “식량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플라이스토세 말기(1만 9000년~2만5000년 전)에 일어난 기후 변화 때문에 중동 지역은 심하게 건조해졌다. 사람들은 물이 풍부한 곳에 모여 살기 시작했고 결국 근처에서 잡을 수 있는 야생동물의 수는 급격히줄어들었다. 더 이상 ...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물론 앞서 소개한 경주 후동마을을 비롯해 곳곳에 주상절리가 남아 있다. 특히 중생대 말기(약 1억 년 전) 이후 만들어진 화산 지형에서는 심한 지각변동이 없었기 때문에 주상절리를 쉽게 찾을 수 있다.필자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여러 시대의 화산암에 다양한 주상절리가 발달돼 있음을 ...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환경이 점차 차고 건조해지면서 살아 남기 위해 다양한 적응 양식을 보인다.플라이오세 말기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저 영양가의 식물성 먹거리를 더 많이, 다양하게 섭취했다. 따라서 씹는 능력에 관련된 해부학적 특징이 발달했다. 예를 들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이티오피쿠스는 오늘날의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