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사능"(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배관과 벽에 강하게 뿌리거나, 오염부위를 레이저로 자르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 방사능 수치를 계속 낮춰 줘요. 그래야 방사성 폐기물의 양도 줄어들고, 사람이 들어가서 건물과 내부의 설비들을 절단하고 철거할 수 있게 되지요. ➊ 원자력 발전소 내부 구조물을 절단한 뒤, 방사선 양을 ...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없어요. 사용후핵연료에는 강한 방사선을 내는 플루토늄이 포함돼 있는데, 플루토늄은 방사능의 강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2만 4000년이나 돼요. 그래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사용후핵연료를 지하 500m 아래에 묻도록 권하고 있지요. 현재 핀란드만이 유일하게 지하 처분장 ‘온칼로’를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작동해야 한다는 거예요. 도시바 핵에너지 시스템 및 서비스과 고로 야나세 매니저는 “방사능과 물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작은 개복치가 피해 규모와 핵연료 잔해의 위치 등을 파악해 원전 해체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상어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피코큐리(pCi) : 라돈 등 방사선의 측정 단위.1큐리(Ci)는 라듐 1g이 1초 동안 방출하는 방사능의 양이며, 피코큐리(pCi)는 1조분의 1큐리를 말한다.우리나라의 실내 라돈 농도 권고기준은 4pCi/L예요. 그래서 실시간 측정기 라돈아이는 라돈 농도가 기준치인 4pCi/L를 넘으면 경고음이 울리도록 설정돼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개척도시는 17년 전과 마찬가지로 쑥대밭 같은 모습이었다. 자연 방사능 외에 다른 방사능은 전혀 없었다. 나는 건물이 무너지고 철골이 뒤틀린 모양을 유심히 관찰했다. 고요의 바다에서는 이 문제에 몇 년 이상 매달린 군인과 실무자들을 만났다. 그들은 세 초능력자를 가끔 고전 문학 속의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문 분야가 조금씩 다릅니다. 본부인 온타리오 주 오타와연구센터는 레이더 기술, 방사능 핵방위, 우주 시스템 운영을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노바스코샤 주 다트머스에 위치한 애틀랜틱연구센터는 해군 방위 기술에 특화돼 있습니다. 재료 실험실을 두 곳이나 운영하면서 해군 군용 차량에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것은 사고 이후 6년 만이다. 과거에도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는 로봇이 여럿 개발됐지만 방사능 수치가 너무 높아 고장을 일으켰다. 고로 야나세 도시바 원자력시스템 및 서비스사업부 총 책임자는 “오염수가 범람할 수도 있는 특수 지역에 로봇을 보내는 일이 가장 큰 과제”라며 “고준위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외에도 원전 시설의 바닥이나 벽면 등 건물도 제염한다.전문가들은 원전에서 방사능 오염이 얼마나 잘 제거 됐는지를 ‘제염계수’로 나타낸다. 제염계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전의 방사선 준위 또는 농도를, 제거 뒤의 방사선 준위나 농도로 나눈 값이다. 이 값이 클수록 제염이 효과적이다.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김혁 태평소금 부장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에는 소금의 원료인 바닷물의 방사능까지 측정하고 있다”고 말했다.태평염전 공장 안에서는 대학 실험실이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을 법한 장비로 소금의 이물질을 찾아내 제거하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또 금속성 이물질들은 강한 자석으로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보다 훨씬 최근인 23만6000~33만5000년 전에 살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방사성 물질에서 방사능이 얼마나 줄었고 치아 법랑질에 있는 결정에서 에너지가 얼마나 변했는지 등을 종합한 결과다. 이에 따라 호모 날레디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일정 기간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연구팀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