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마루
고개
산마루
d라이브러리
"
산등성이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와 그 사촌인 졸참나무(Quercus serrata) 등에 의해 고유의 참나무숲이 형성되고, 소나무는
산등성이
로 쫓겨나게 된다. 이와같이 숲정이를 구성하는 식물들은 사람들의 간섭에 따라 여러가지 생육전략으로 진화하면서 멤버 교체가 명확히 이루어진다. 깡패식물의 등장경제 발전과 의식주 원료가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차지하는 공간이 넓은 데 비해 이렇다할 밝은 별을 거의 가지고 있지않다. 다만 남쪽
산등성이
위를 보게 되면 밝은 별 하나가 붉은 색을 띠며 외롭게 빛나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밤하늘 외로운 등대처럼 홀로 빛을 발하는 이 별은 가을을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별로 남쪽물고기자리의 으뜸별 ... ...
태양의 영원한 라이벌 전갈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봄기운에 들뜬 자연이 초록으로 옷을 갈아 입더니 어느덧 주위는 온통 여름의 세계로 바뀌고 있다. 낮은 길어졌지만 우리는 별밤을 맞이하기 위해 그만큼 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여름의 밤하늘은 충분히 기다릴만한 가치가 있는 아름다움의 보고이다. 여름의 화려한 별자리들이 저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놓여져 있기 때문에 어디에서 보아도 정동에서 떠올라 정서로 가라 앉는다. 어떤 이들은
산등성이
에 걸린 삼태성을 가리켜 '하늘을 오르는 계단'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삼태성의 뚜렷한 모습은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다른 별들을 찾는데 좋은 지침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삼태성을 따라 ... ...
루마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눈'이라고 부른다.서카르파티아산맥 지대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산등성이
까지 마을이 들어서 있다. 이 지역에는 동굴 터널 강의 원천 그리고 강이 지하로 사라지는 곳 등 수많은 명소가 있다.카르파티아산맥의 고원지대는 평균 5백m 높이의 산악지대와 구릉지들에 의해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서쪽 지평선으로 호를 그리고 있다. 여름철의 대삼각형은 못내 아쉬움을 남기며 서쪽
산등성이
아래로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페가수스 사각형은 여전히 남서쪽 하늘 높이 올라와 가을 별들의 길잡이가 되고 있다. 정남쪽으로는 뚜렷하게 밝은 별이 없는 공허한 하늘에 물고기 고래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밤하늘의 모습도 여름의 화려한 축제 분위기와는 달리 무척 차분한 감을 준다.
산등성이
마다 물들기 시작한 가을색에선 원숙미가 느껴지고 은은한 밤별들의 미소에는 새로운 계절의 포근함이 담겨 있다. 이제 길어진 밤동안 별을 헤는 마음으로 서서히 한해의 결실을 준비해야 겠다.기상청의 자료에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케아와 4천1백68m 높이의 활화산 마우나 로아산이 있다.현지에서 알아본 결과 두개의
산등성이
만나 계곡을 이루는 곳에서 개기일식을 보는 것이 가장 좋다고 판단됐다. 그곳은 카아후마누 고속도로 주변으로 약8만의 관광객들이 모여들었다고 외신은 전했다. 그중에서 일본인이 3만이 넘었다고 하니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 호수의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절멸의 위기에 놓여 있다고 한다. 페루의 한
산등성이
의 나무들이 벌채 됐을 때, 그곳에서만 볼 수 있었던 고유한 식물종의 90%가 영영 사라지고 말았다 또 지구상에는 약 8천6백종의 조류가 살고 있는 데 그중 약 12%가 절멸의 위기에 있다고 한다.생물들이 사는 곳의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장소이동, 활동억제, 물리적 피서법, 생리적 피서법을 터득한 동물들은 그리 힘들이지 않고 더위를 이긴다.북극권의 북극여우(Alopex lagopus)는 내한성이 강해서 -50℃ 쯤은 가볍게 견디고 실험적으로는 -80℃에도 별 이상이 없었다고 한다. 남극의 팽권도 내한성이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더구나 이 새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