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길
세로
상하
작은길
오솔길
보도
애로
d라이브러리
"
소로
"(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요전번 핼리혜성의 출현은 상공의 광공해와 혜성 자체의 질량감
소로
인하여 보기에 쉽지 않았기 때문에 대중을 흥분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핼리혜성으로부터 얻어진 과학적 자료는 아직 분석되고 있는 중이다.최근 모스크바에 있는 우주탐색연구소와 샌디에고에 있는 ... ...
3 통신·방송용 상업위성 세계 구석구석 연결, 동시생활권으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대기업으로 성장했다.60년대 초부터 개발 통신위성은 공중에 떠 있는 전파중계
소로
서 지상안테나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중폭, 다시 지상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초의 실용 통신위성은 1962년에 쏘아올린 텔스타(Telstar) 1호와 릴레이(Relay) 1호 비교적 저고도의 지구 ... ...
자동차 와이퍼 소송, 포드사 참패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진동와이퍼를 제일 먼저 장착했다. 그리고 그의 발명품을 소개하기 위해 막바로 포드연구
소로
향했다. 이때가 1963년 10월 23일이었는데 운좋게도 보슬비가 내리는 날이었다.포드사의 연구원들 앞에서 행한 시범작동은 완전한 성공이었다. 이전의 와이퍼와는 달리 컨스의 와이퍼는 쉴 줄을 몰랐다. ... ...
Genes In Action 활동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순찰하는 로봇도 등장할 것이다.아무튼 진실이 하나 있다면 우리는 다양성을 즐기고
소로
가 말했듯이 자연을 소중히 여긴다는 점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보다 훨씬 더 오랜동안 즉 우리가 죽어 사라진 후에도 계속 살아나갈 지구의 일부만이라도 느껴보기 위해 바다로, 산으로, 사막으로 가고 싶어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대부분의 정부출연연구소들이 80년대 중반이후 재벌 그룹들의 연구소들에 밀려 2류연구
소로
전락했다. 예비과학기술자들이 선망해 마지않던 전자통신연구소도 88년과 90년의 경우 이른바 서울의 일류대학출신 신입연구원이 한명도 없다는 사실이 정부출연연구소가 처한 오늘날의 모습을 전해준다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더 다채롭다. 대학원에서 안테나연구를 2년 쯤 한 뒤 이번에는 피츠버그의 걸프연구
소로
옮겨 지구물리학도로 변신한다. 마침내 25세가 돼서야 응용보다는 기초과학연구가 자신의 길이라고 생각, 프린스턴대학 물리학과 대학원과정에 입학했다. 여기서 고체물리학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얻은 뒤 3 ... ...
컴퓨터 과학자들의 새로운 관심 「한글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4개의 자소 외에 4개의 복모음과 4개의 쌍자음인 'ㄲ ㄸ ㅉ'을 더하여 32개의 자소를 기본자
소로
선택했다. 그리고 초성과 종성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그 구별은 처리과정으로 미루었다. 만일 초성과 종성을 따로 구분한다면 사람이 타자를 할 때 할 일이 많아진다고 볼 수 있다. 표준글자판은 모음과 ... ...
다양해진 치약, 올바른 선택기준은?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치면세균막(플라크 plaque) 치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치구는 치아표면에 끼는 갈색
소로
일종의 때라고 볼 수 있다. 플라크는 입안에 상주하는 세균이 치아에 세균막을 형성한 것으로 이것이 침 속에 있는 무기성분과 결합하면 석회화, 치석으로 된다. 치석은 스케일링으로만 제거될 수 있다 ... ...
인공보석의 실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합성을 시도했으나 결국은 1955년에 가서야 성공했다. 다이아몬드와 흑연은 같은 탄소원
소로
구성된 결정이나 결정구조가 다르다. 다이아몬드는 절대온도 0도 이하에서도 압력 5만기압 이상의 안정상태에서만 존재 할 수 있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더 높은 압력이 필요하다. 우리가 살고있는 것은 ... ...
남성이 여성보다 바둑을 잘 두는 이유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그저 뱅뱅 돌 뿐이었다.야외실험을 마친 가울린은 이 들쥐들을 자신의 피츠버그연구
소로
가져 왔다. 실험실내에서 실험을 계속 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일련의 미로를 만들어 놓고 들쥐들에게 이 미로를 빠져 나오도록 '강요'했다. 수컷 풀밭들쥐는 여기서도 자신의 능력을 유감없이 보여 주었다.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