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가락"(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슬라임이 과속방지턱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고체보다는 걸쭉한 액체에 가까웠어요. 주머니를 손으로 천천히 눌렀더니 예상대로 손가락이 주머니 속으로 쑤욱 들어갔어요. 이어 빠르게 주머니를 쥐었더니 묵직한 덩어리가 만져졌지요. 분명 같은 주머니를 만졌는데 말이에요. 이 슬라임이 이러한 특성을 띠는 이유는 ‘비뉴턴 유체’의 특성 ... ...
- [Mathematician] 직접 부딪쳐 답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문이 닫혀 전혀 뺄 수 없었어요. 심지어 문에 달린 강력한 톱니가 손가락에 박혀 뼈가 보일 정도로 피가 철철 났어요. 그제서야 ‘아, 이래서 쥐가 못 빠져 나갔구나’라고 이해했죠(웃음).” 그런 성향이 명확한 답을 알려주는 수학과 잘 맞았다. 1995년 서울대학교 ...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원예용 재배 목적으로 발아됐다고 하는데. 이건 뭐 워낙에 변수가 많으니까.” 직원이 손가락으로 가리킨 부분에는 ‘@10.676846, 122.951476’이라는 기괴한 숫자가 적혀 있었다. 얼핏 내세 좌표에 대해 들어 보긴 했으나, 이리도 투박한 숫자만 덜렁 주어지는 상황에 대해선 설진도 예상하지 못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켜는 과정을 단계로 나타내면 ‘TV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 ‘뇌의 신경신호가 손가락을 움직여 리모콘의 버튼을 누른다’ - ‘TV가 켜진다’로 나눌 수 있어요. 그런데 만약 TV가 내 신경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TV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자마자 TV가 저절로 켜지겠죠? BCI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혈당 측정 센서 같은 스마트 진단 기기를 개발하는 연구가 많아졌습니다. 아침마다 손가락 끝을 바늘로 찔러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의 고충을 덜듯, 생활 속에서 간편하게 쓸 수 있는 광음향 촬영장치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두 번째로는 다양한 작은 동물들을 촬영할 수 있는 광음향 촬영 장비를 개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답답한 기분에 콧속에 손가락을 넣어 후벼본 적 있니? 이렇게 코를 파다 콧구멍이 넓어지진 않을까 몰래 걱정해 본 친구라면 주목! 궁금증을 해결해 줄 영상을 준비했어. 궁금증을 해결한 뒤에는 나 마이보가 추천하는 마인크래프트 건축 영상도 보고, 시원한 망고 빙수 만들기 영상도 봐봐!●조회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이제 키 크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IGFBP-3)과 결합해 뼈에 있는 성장판까지 이동한 후, 뼈가 자라도록 신호를 주죠.성장판은 손가락, 발가락, 팔, 다리 등 긴 뼈가 있는 부위의 양쪽 끝에 위치해 뼈가 자라는 곳이에요. 뼈와 달리 단단하지 않은 연골로 이뤄져 있죠. 이 연골세포들이 성장조절물질의 신호를 받아 세포 분열을 하면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우주순찰대 최대의 위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그렇게 급하면 코딱지 너 먼저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라!”넓은마음이 외치며 손가락으로 딱 소리를 내고는, 재빨리 옆에 있는우주선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러자 우주선이 드나드는 거대한 문이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슈우욱’ 소리와 함께 공기가 우주로 흘러나가기 시작했습니다.“모두 뭔가 ... ...
- [기획] 내 생각대로 움직인다! 로봇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수 있을까요? 그럼요. 이 기술을 응용하면 손가락이나 다리를 생각대로 움직이는 로봇손가락, 로봇다리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거예요. 더 나아가 몸 전체를 내 마음대로 움직이는 로봇이나 휠체어도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가상 세계 속의 아바타를 내 생각대로 움직이는 게임도 할 수 있는 세상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나노를 탐구하는 양자나노과학연구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긴 철사를 비스듬히 잡아당기면서 늘리는 느낌으로 끊어냈어요. 장원준 연구기술원은 “손가락으로 점자를 문지르며 글자를 읽는 것처럼, STM은 팁으로 금속 표면을 훑으면서 원자의 위치를 알아낸다”고 설명했죠. 도소현 독자기자는 “제가 만든 팁으로 원자를 볼 수 있다니 너무 신기하다”고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