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플래시
후래쉬
후래시
후라시
프래쉬
프래시
후라쉬
d라이브러리
"
손전등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마사이 족들은 소를 공격하는 사자를 독살하고, 농부들은 밤마다 교대로 밭을 감시한다.
손전등
을 비추거나 공포탄을 쏴 코끼리들을 공원 쪽으로 보낸다.가축들이 무더위와 가뭄으로 죽자, 사람들도 고통 속에 빠졌다. 먹을 게 없어 까끌까끌한 나뭇잎(야쿠하)까지 먹는다. 야쿠하는 너무 거칠고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비추며 섭섭박사님을 애타게 찾고있는 거야. 그런데 바로 그 때! 냠이가 문 틈으로
손전등
을 비추자 열쇠가 바닥에 나타났어! 야호~, 이제 살았다! 호기심 해결고양이 구출 작전! 성공의 비밀은‘착시’이렇게 해서 우린 무사히 룽지를 구출해 올 수 있었어. 그런데 그 이상한 통조림 공장 말이야.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답니다. 둘째빛이 직진하기 때문이에요!어두운 밤하늘을 향해
손전등
을 비춰 보면
손전등
에서 나간 빛이 똑바로 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어요. 빛이 휘지 않고 항상 직진하기 때문으로, 이것은 빛의 성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질이에요. 과학자들은 이러한 빛의 성질을 ‘빛의 ... ...
내 물리 실력 한눈에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있다. 초등학생은 이론보다는 생활과 많이 닿아 있다. 고학년이라면 ‘100원짜리 동전에
손전등
으로 빛을 비추었을 때 방향에 따라 다양한 그림자가 나온다. 다음 중 생길 수 없는 그림자는 무엇인가?’ 같은 식이다. 중학교 2~3학년이라면 ‘유리 속에 구 모양의 공기방울이 있다. 공기방울 쪽으로 ... ...
우리에게 빛은 생명일까, 공해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황금처럼 빛나는 누런 들판이 바닷물처럼 출렁인다. 하늘에서 선물이라도 쏟아지는지 들판은 쉴 새 없이 손을 흔든다. 나무들도 ‘선물’을 받으려고 하늘로 손을 뻗었다. 나무마다 머리 꼭대기가 연두색으로 밝게 빛난다. 가장 키가 큰 나무는 혼자 차지하고 싶어 온 가지를 사방으로 쭉 뻗어 기지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사람들의 평가를 바로 보여 주기도 하지요.MIT 미디어랩의 ‘가이딩 라이트’도 있어요.
손전등
이 불빛을 비춰 주듯 가상의 세계를 현실에 더해 준답니다. 가이딩 라이트를 길에 비추면 화살표 모양이 나와 길을 잃지 않고 목적지를 찾을 수 있게 안내해 줘요. 그림을 비추면 그림에 대한 정보를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아침이 밝았어요. 냉큼 일어나서 학교 가라는 엄마의 목소리가 상현이를 깨우네요. 하지만 상현이는 몸을 잠깐 뒤척이다가 다시 꿈나라로 빠져들기 시작했어요. 음냐음냐….쿨쿨~. 그 때, 누군가가 다시 상현이를 부르네요.“이 늦잠꾸러기, 지각대장아!”“깜짝이야. 넌 대체 누구야?”“난 잠의 ... ...
수학과 과학은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나
손전등
이 포물선의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헤드라이트나
손전등
은 포물면과 초점에 놓인 전구로 이뤄져 있다. 초점에 있는 전구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에 반사돼 직선으로 쭉 뻗어나간다. 포물선의 기하학 원리를 이용해 사방으로 퍼지지 않고 직선으로 나가는 빛줄기를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겨울은 천체를 관측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다. 봄은 황사 때문에, 여름은 습기 때문에 하늘이 맑지 않고 날씨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가을과 겨울은 하늘이 맑아 관측하기 좋다.특히 추운 겨울은 대기가 안정돼 별이 또렷하게 보인다. 천체 마니아들이 추운 날을 기다려 별을 보는 이유다. 천체망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마다 12월 31일이 되면 서울 종로보신각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며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서다. 130년 전 미국 뉴저지에서도 이처럼 독특하게 새해를 맞는 행사가 있었다. 1879년 12월 31일 멘로파크에서 열린 백열전구 시연 행사였다.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은 2년 동안 준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