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퀴즈
퍼즐
질문
문제
알아맞히기
난문제
조각맞추기
d라이브러리
"
수수께끼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자신에 대한 흔적을 거의 남겨놓지 않아
수수께끼
로 남아있는 고대의 외계인을 사람들은 히치라고 불렀다. 그렇게 인간은 뜻하지 않게 우주로 나가는 통로를 얻게 되었고, 그 뒤로 달 개발과 우주 탐사는 냉전 때의 우주 경쟁과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탄력을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구글 딥마인드가 지난해 11월 30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4회 단백질 구조 예측 대회(CASP14)’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혁신적인 성과를 냈다. 자체 개발한 ‘알파폴드(AlphaFold)2’가 50년 넘게 해결되지 않던 난제인 단백질 구조 예측 문제를 사실상 해결했다고 밝혔다. 2018년 제13회 CASP 대회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앞에서 김민형 교수님이 얘기한 알쏭달쏭한
수수께끼
에 바로 답이 있군! 최고의 수는 세상 어디에나 있지.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거든. 최고의 수란 어느 하나의 숫자가 아니라, 모든 수를 마음대로 움직이고 원하는 대로 쓸 수 있는 경지를 일컫는 것이야. 그건 바로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방 하나하나가 육각형 모양이에요. 왜 그런 모양인지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였죠. 1964년 헝가리 수학자 라슬로 페예시 토트가 밝혀내기 전까진 말이에요. 벌집이 육각형인 이유는 가장 적은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예요. 벌이 꿀과 먹이를 가득 채워 저장하기에 ... ...
[BOOK 소리] 용감한 어린이만 도전하라! 데블X의 수상한 책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읽어야 한다. 하지만
수수께끼
를 풀지 못하면 책 속에서 길을 잃고 만다. 풀지 못한
수수께끼
때문에 더이상 이야기가 어떻게 이어질지 알 수 없다면, 결말이 무척 궁금하고 계속 신경이 쓰이지 않을까?데블X는 이런 사람의 심리를 날카롭게 파고든다. 결국 이 책을 펴는 순간, 이미 데블X의 손아귀에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자신만의 웹 페이지를 만들 수도 있다. 2018년에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영원한
수수께끼
’라는 미궁 게임을 만들어 인기를 끌었고, 그 인기에 힘입어 후속작도 제작했다.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와 서울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만든 미궁 게임도 있다. POSTECH은 KAIST와의 교류전을 홍보하기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나기 어려운데도 늦여름에 새끼를 낳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 했어요. 연구팀은 이런
수수께끼
를 풀기 위해 지난 2008년 8월부터 3개월 동안 유럽의 발트해 지역에서 빗해파리를 수집해 관찰했어요. 그 결과 서식지역에 먹이인 플랑크톤이 줄어도, 빗해파리 성체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 ...
[특집] 오래된 서고 - 아직 풀리지 않은 암호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이뤄져 있으며 암호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샌본은 “크립토스는
수수께끼
속의
수수께끼
”라며, “모든 암호를 풀어야 숨은 의도와 의미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1999년 앞의 세 부분이 한꺼번에 해독되면서 완벽하게 풀릴 거라는 기대가 커졌지만, 아직도 마지막 한 부분은 풀리지 않았다.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렙틴을 발견한 공로로 2010년 미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래스커상을 수상했다.하지만
수수께끼
같은 문제가 남아 있었다. 대부분의 비만 환자에게 렙틴을 투여해도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이었다. 또 비만한 사람에서는 대부분 렙틴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많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현재 ... ...
스피어x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관측했기 때문에 이런 연구가 쉽지 않았다. 전 우주에 대한 자료를 얻으면 우주론적
수수께끼
를 푸는 연구가 가능해진다. 얼음 입자를 가진 천체의 성분을 관측해 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거나 알려지지 않았던 외계 행성의 특성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태양계의 소행성과 혜성들에 대한 정밀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