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으)로 총 4,773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하고 현명한 오픈채팅 사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오픈채팅에선 다양한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지만, 위험도 잠재되어 있어. 나 과학마녀 일리가 안전하고 스마트하게 오픈채팅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 편리한 오픈채팅 서비스를 모두가 안전하고 즐겁게 사용할 수 있겠지요. 좋은 디지털 세상은 시민이 함께 만드는 거예요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안녕하세요! 지구사랑탐사대 장이권 대장입니다.지난 5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열린 시민과학 학술 대회에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소개하러 다녀 ... 맥도웰 소노란 관리위원회의 모범사례를 본받아 우리나라의 보호구역을 지키는 데도 시민과학이 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
- [기획] 불빛에 몰려드는 벌레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유역이 만나는 곳에서 주로 일어납니다. 이 때문에 서식지 근방에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나 서울 성동구, 송파구에서는 동양하루살이를 흔히 볼 수 있지요. 동양하루살이는 더 빨리, 더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남양주보건소는 “대량발생이 올해 3월 처음 신고되어 5월까지 총 40건의 신고가 ... ...
- [과학용어] 수성/협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강원도(북한) 평강군부터 경기도 연천군까지 흘러내려오는 강이에요.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멍우리 협곡은 한탄강을 따라 약 4km에 걸친 현무암 절벽이 특징인 협곡으로, 과거 화산이 폭발해서 한탄강을 따라 흘렀던 용암의 흔적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용암이 식으며 기둥 모양으로 만들어진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커졌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손봉원 박사는 “컴퓨터로 각 안테나에서 전파를 방출하는 시간을 조절해 원하는 위치로 모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알리 하지미리 교수는 “아주 적은 수준의 에너지였지만 우주에서 지구로 전기를 보낸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 같은 방식으로 외딴 ... ...
-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응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경환이가 사용한 변기 물의 양을 계산해서 적어봐! 점심 먹고 치카치카! 12시다! 점심 시간이 끝난 뒤에는 이가 썩지 않도록 양치를 꼭 해야 해. 그런데, 양치할 때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으면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게 돼. 수도꼭지에서는 1분에 12L의 물이 나오거든. 경환이가 양치를 22번 하는 동안 ... ...
-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보내줄 예정이에요. 위성 4기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나는, 이른바 편대 비행을 시도한 도요샛도 우주로 갔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도요샛은 각각의 중량이 10kg이 되지 않는 4기의 나노 위성으로, 우주 날씨를 관측할 예정이에요. 다만 4기 중 1기는 누리호에서 우주로 내보내지지 않은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9월 9일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텀블벅’에 재미있는 펀딩이 하나 올라왔습니다. 제목은 ‘상공 30km 목표 아마추어 고체 추진 관측 로켓 개발’. 아마추어 로켓 개발 ... 과연 OSR-1은 12월 창공을 날아 고도 30km에 닿을 수 있을까요? 이 기사를 읽는 여러분도 함께 응원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SF스토리 공모전 총 36편의 수상작 중 과학동아 특별상을 수상한 소설을 지면으로 소개합니다 “기어 1단에서 현재 시속 120km.” 타는 듯이 목이 마르다.“기어 2 ... 음속돌파의 상징인 소닉붐(Sonic Boom) 현상이었다. 그 강렬한 모습에 매료된 매드스피드의 시청자들이 열광적으로 환호했다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알쏭달쏭 시(時), 거꾸로 읽어야 아름답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거꾸로 4에 5를 곱해서 이 수가 무엇인지 알 수 있어요. 마찬가지로, 바스카라의 시에 나온 벌이 모두 몇 마리인지도 거꾸로 생각하면 더 쉽게 알 수 있답니다. 마지막에 남은 벌 1마리에 꽃으로 날아간 벌들의 수를 더하면 맨 처음 꽃밭에 온 벌떼의 수를 구할 수 있지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