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사실에 놀랐습니다. 바다생물을 더 많은 사람에게 소개하고 싶어 본격적으로 수중촬영을 시작했습니다. Q. 이 일을 하며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인가요?아름다운 장면을 우연히 발견한 순간, 그리고 쉽게 만나기 힘든 바다생물을 인내 끝에 만났던 순간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코스타리카 ... ...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먼저 개별 혈흔 중 하나를 골라 혈흔과 수렴 점을 연결해 밑변으로 둔다. 그리고 혈흔의 시작점에서 위에서 구한 충돌 각도 I를 예각으로 하는 직선을 그린다. 그러면 점 O에서 올린 xy평면에 수직인 선과 만나게 된다. 이 직각삼각형에서 높이를 H, 수렴 점을 O, 혈흔과 수렴 점 사이의 거리를 D, 충돌 ... ...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해상도가 더 높아지면서 오히려 실제 우주와는 다른, 시뮬레이션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무거운 암흑물질의 한계 두 가지 윔프가 암흑물질이라는 가설을 적용한 무거운 암흑물질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 우주에 비해 작은 위성 은하들이 지나치게 많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 ...
- “20년 전 제언이 여전히 유효, 이제는 직접 바꾸겠다”_정우성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다른 고민 없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을지를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걸어온 길의 시작이었죠. 당시의 고민과 신념을 계속 가져가고자 합니다. Q 어떤 과학기술 정책을 앞장서 바꾸고 싶은가R&D 예산 시스템을 바꾸는 데 가장 집중하고자 합니다. 우선 지금은 정부 부처가 각각 R&D 예산을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보여줍니다. 이렇게 과제 제안서가 선정된다면 무사히 연구비를 지원받아 연구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김공룡 박사, 연재 4화 만에 드디어 연구할 수 있군요. 그런데 말입니다. 어쩌면 처음 하는 연구라, 어쩌면 성공 가능성이 낮은 모험적인 연구라 연구비를 받은 후에도 제대로 연구를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삶은 찰나와 같지만 이 우주에서 어떤 의미로서 남길 바라죠. 모든 인간은 우주에서 시작됐지만 우리에게 우주는 여전히 먼 곳이기도 해요. 제 예술이 인간의 삶과 정신, 존재의 의미를 우주와 다시 연결하는 가교가 되길 바라며 창작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
- [만화뉴스]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잔디밭 선발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이 대회는 고틀란드 섬에 가뭄이 지속되자 물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2022년 처음 시작됐어요. 잔디밭을 꾸미는 데 쓰이는 많은 양의 물을 아끼자는 취지예요. 이후 미국의 영화배우이자 환경운동가인 쉐일린 우들리가 대회에 참가하며, 전 세계에서 참가가 가능한 대회가 됐어요. 환경을 생각한 ... ...
- [기획] 풍선껌 크게 불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00만 원?“어더 커지나요? 더 커져요!” 참가자들이 비장한 표정으로 질겅질겅 껌을 씹기 시작했습니다. 풍선껌을 크게 부는 사람이 이기는 풍선껌 크게 불기 챔피언십, 무려 100명이 대회에 참가해 대결을 펼쳤어요. 게임을 주최한 식품 제조 기업 롯데웰푸드는 “풍선껌 불기의 즐거움을 전달하고자 ... ...
- [포토뉴스] 수염고래가 물속에서 소리내는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관을 진동해 소리를 낸다. 고래는 신생대 에오세 초기에 육상에서 수생으로 진화를 시작했다. 고래는 수생 환경에 적응하며 물속에서 질식하지 않고 소리를 내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범고래와 돌고래가 속한 이빨고래의 경우 코를 발성기관으로 사용한다는 점이 알려졌지만, 수염고래의 경우 ...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힘을 실어 줬다. 이후 20세기부터 전염병에 관한 수학 모형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영국 수학자 윌리엄 하머는 영국 런던에서 발생한 홍역이 어떻게 유행하는지에 대한 수학 모형을 제시했고, 병리학자 로널드 로스는 말라리아의 확산 모형을 세웠다. 로스는 이 공로로 1902년에 노벨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