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장
식량실
취사실
식품저장실
식료품 저장실
상차리는방
d라이브러리
"
식기실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균과의 전쟁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근래 CF에는 날이 갈수록 기승을 부리는 병원균들에 대항해 각종 항균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항균제품이라고 하면 균에 대항한다는 말인데 과연 “어떤 균에 대항하는 것인가,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가,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가”에 대해 소비자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 의문이다. 또 봇물처럼 ... ...
Ⅳ. 금도금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섬세하게 금을 입힌 장식물 전기 사용 가능성 시사19세기 프랑스의 대표적 고고학자 오귀스트 마리에 뜨는 이집트 고고국의 초대장으로 부임해 발굴작업을 지휘하던 중 기자 대피라미드 근처에서 금도금 장식물을 발견했다. 고대 세계에서 제작된 금도금 제품은 자주 발견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 ... ...
황새집에 초대받은 여우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직립을 이룬 인류는 양손의 자유를 얻는 순간부터 오른속잡이와 왼손잡이 둘로 나누어졌다. 이 가운데 오른손잡이는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사회 구석구석을 자신들의 것으로 채워넣었고, 이에 따라 소수의 왼손잡이는 장애 아닌 장애를 겪고 있다. 아침왼손잡이에게도 새벽은 온다. 눈을 비비고 ... ...
풍선으로 배우는 미니상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마술사가 풍선을 터뜨리지 않고 철사를 관통시킬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풍선을 가지고 여러가지 과학적 사실들을 확인해보자1. 바베큐 풍선① 두 개의 풍선을 겹으로 분다.② 안쪽 풍선은 그냥 두고, 겉 풍선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인다.③ 가늘고 곧은 철사로 풍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송태호교수(KAIST 기계과)는 지난 94년 8월 영국의 브라이턴에서 열렸던 제 10회 국제열전달학회에서 현장 연구를 기반으로 한 '얼음골의 현상 분석(Numerical simulation of seaonal convection in an inclined talus)'이라는 논문을 발표해 해당분야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송교수는 이 얼음골의 생성 원리를 ...
1. 톱쿼크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1995년 톱쿼크 발견으로 가장 작은 입자의 세계는 완성된 것일까. 아직 숙제가 남아있다면 어떤 것들인지 함께 알아본다.작년 이맘때쯤 미국의 페르미가속기연구소에서 톱쿼크를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한 후, 1년이 지난 지금 톱쿼크의 존재를 더 이상 의심하는 과학자는 없다. 쿼크는 무엇일까. 톱쿼 ... ...
4. 세제 세탁속에 숨어 있는 '보이지 않는 손'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깨끗이 옷을 빨기 위해서는 세제의 세정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환경오염을 피해야 하는 어려움도 따른다. 여기에도 계면활성제의 묘미가 숨겨져 있다. 세제는 고체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이다. 세제는 목적에 따라 의류를 청결하게 하는 세탁세제, 식기를 청결하게 ... ...
옹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장독대에서부터 물독 뚝배기 항아리에 이르기까지 옹기는 우리네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이용돼 왔다. 좋은 재료에 전통기법을 써서 빚어진 옹기는 선조들의 경험에서 우러난 과학 지혜를 전해주고 있다.예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맑은 물이라도 정화시켜가면서 마시는 습관을 갖고 있었다. 식생활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동양의 인간관과 자연관에 뿌리를 둔 기(氣). 과연 기의 실체는 무엇인가. '보이지 않는 기'를 어떻게 인식해야 되는 것일까.평상시에 우리는 기와 관련된 표현을 자주 쓴다. '기를 펴다' '기가 꺽인다' '시장기를 느낀다' '생기가 돈다' 등. 단어에도 기는 상당히 많이 들어가 있다. 기분 분위기 총기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가이아 이론은 지구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지구상에 생명이 태어난 시점부터 지금까지, 지구의 대기권 암석권 생물권을 지배하며 항상성을 유지시켜온 실체가 '대지의 여신' 처럼 살아 숨쉬고 있다는 것이다.가이아 이론은 "지구는 살아 있다"는 가설이다. 가이아(Gaia)란 그리스 신화 ... ...
이전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