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발
신구
제보
공고
알림
통지
연락
d라이브러리
"
신고
"(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0화. 해롱 선장이 페가수스 선장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어느 날 학교 선도부가 불시에 해롱 선장의 방을 수색했어. 해롱 선장이 항의 했지만
신고
가 들어왔다며 여기저기를 마구 뒤지는 거야. 그러더니 침대 매트리스 밑에서 며칠 뒤에 있을 시험 문제가 적힌 종이를 발견했어. 해롱 선장은 시험 문제를 빼돌린 혐의로 조사를 받았어. 증거가 워낙 확실해서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쓰레기에 낚인 괭이갈매기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중 다행이었다. 덕분에 둘은 옴짝달싹 못하는 상태였고 사람의 눈에 띄어 구조센터에
신고
될 수 있었다. 구조 장소에 도착했을 때 두 괭이갈매기는 파도가 살짝 들이치는 모래 사장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두 마리가 함께 날아오르거나 빠르게 도망치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다. 혹여라도 비행해 ... ...
[SF 소설] 목가와 숙녀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무릎 위로 내려오는 플리츠 스커트 위에 보들보들한 연보라색 니트 티를 입고 부츠를
신고
있었다. 윤이 흐르는 긴 머리카락은 절반을 뒤로 모아 리본 핀으로 고정했다. 나는 뜻 모르게 얼굴이 달아오르는 것을 느꼈다. 나는 앞장서서 낙농장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내게 익숙한 이야기에 집중하다 ... ...
안녕!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발견할 때마다 손가락을 하나씩 접어보자. 안경을 쓰고 있다면 한 손가락을 접고, 신발을
신고
있다면 또 하나 접어야 한다.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당신, 접어야 한다. 물론 겉면이 번지르르한 이 잡지를 들고 있는 당신도.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훑고 난 뒤에 다섯 손가락 중 하나라도 남아있는 사람은 ... ...
야생동물 구조작전 feat. 장마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빗물이 모여 커다란 물줄기가 만들어졌다. 마치 폭포 같았다. 우비를 걸쳐 입고 장화를
신고
뛰쳐나간 야외 계류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었다. 바닥은 사람 허벅지 높이까지 잠겼고 밥그릇과 구조물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물이 흘러 나가라고 만든 배수구에서 일제히 물을 내뿜고 있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소녀, 하늘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아하! 그래서 불을 이용해 연소기가 잘 견디는지 실험하고 계셨던 거군요.”화재를
신고
했던 남자와 꿀록 탐정, 개코 조수는 사장님이 된 성냥팔이 소녀를 응원하며 불꽃놀이 현장으로 다시 돌아갔답니다 ... ...
보행의 영역이 모빌리티의 영역으로│이진복 올룰로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수집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주행을 최적화하고 파손 및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신고
하는 시스템을 마련했다.자동차도 도입 초기에는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 전동킥보드도 같은 과정을 겪고 있다고 생각한다. 전동킥보드를 포함한 새로운 이동수단이 잘 녹아들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환자를 실은 구급대가 먼저 지나갈 수 있도록 양보하거나, 쓰러진 사람을 보고 119에
신고
하거나, 긴급상황에서 쓸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을 배워두는 일이 모두 골든타임을 지키는 일이지요. ○ 생명 살리는 소방차의 골든타임은 5분! 119 소방차의 ‘골든타임’은 5분입니다. 서울연구원이 ... ...
야생을 잊은 노란 부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열어 먹는다. 굴을 잘 깨서 먹어 영어로는 ‘굴잡이(Oystercatcher)’라는 이름이 붙었다.
신고
를 받고 출동한 곳에서 마주한 검은머리물떼새의 모습은 생경했다. 닭장 창살 너머로 닭들 사이에 멀뚱히 있는 검은머리물떼새가 보였다. 깃이 군데군데 손상돼 있고 발톱이 멀리서도 눈에 띌 정도로 자라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사람과의 삶을 택한 맹금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야생동물구조센터에 데려가기보다 현장 방생을 택한다. 특히 황조롱이는 새끼에 관한
신고
가 많은 종이라 현장 방생하는 경우가 많다. 외상이 없다면 사람보단 어미의 보살핌이 새끼가 잘 자라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시간 싸움이다. 날씨가 따뜻해도 새끼들이 어미 없이 밤을 보내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