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씨"(으)로 총 1,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결코 하찮은 녀석이 아니다! 우리 생태계의 소중한 친구 피라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사실 피라미, 참갈겨니, 갈겨니 이렇게 3종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두 연구원은 시민과학풀씨 프로젝트에서 ‘도리뱅뱅이’라는 팀명으로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피라미의 서식 및 분포범위를 조사하고 있죠. 두 연구원은 “가장 쉬운 존재일수록 순식간에 사라질 수 있다”며 피라미 조사의 중요성을 ... ...
- [특집] 그림자의 속임수에 속지 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의심스러운데, 그림자의 모양은 왜 다르지?”코냥은 평소 놀이터의 나무를 탐내던 비버 씨를 의심했어요. 하지만 그림자의 생김새는 비버와 전혀 달라서 고민에 빠졌지요. 그때, 코냥의 탐정 친구인 옹즈가 찾아와 조언을 해주었어요. “분명 속임수가 숨어 있을 거야. 범인이 무언가를 뒤집어쓴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돌아가기 전, 블랙홀에게 내내 궁금했던 질문 하나를 던졌다.“그런데 블랙홀 씨, 드신 음식은 다 어디로 가나요?”“그걸 알려주면 재미없지 않겠어?”씩 웃는 게 얄미우면서도 매력적이라 괜히 짜증이 났다.제트를 트림에 비유하긴 했지만, 사실 블랙 홀의 목구멍 너머에선 아무것도 나올 수 없다. ... ...
- [교과세특]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게 올해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에 입학한 김세진 씨의 생각입니다. 평소 관심 있는 분야의 외부활동을 하고, 이것을 간접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입시 면접관에게 해당 분야에 대한 열정을 확실하게 어필할 수 있다고요. 솔깃한 팁을 직접 들어봤습니다 ... ...
- [가상 인터뷰] 금붕어도 사람처럼 거리 계산한다고?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사람처럼 위치를 계산하고 기억하며 길을 잘 찾는대요. 정말인지 금붕어 씨를 직접 만나 물어볼게요. Q. 지나온 길을 잘 기억한다는데 사실인가요? 어머, 그게 벌써 소문났나요? 금붕어의 기억력은 3초라는 낭설 때문에 상상도 못했겠지만 사실이에요. 헤엄칠 때 지나가는 물체를 보며 거리를 ... ...
- 2022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 혁신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자연스레 공학과 디자인의 관점을 접목해 제품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임 씨에게 내년에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에 도전할 예비지원자에게 전할 팁을 물었다. “빠른 시도를 통해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는 게 중요할 겁니다. 사람 중심으로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회로 정복하기, 자동 수확 기계로 야생에서 살아남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밀, 감자, 사탕무 등을 수확할 수 있지요. 더 쉽게 농작물을 수확하려면? 씨를 뿌린 농작물이 다 자랐다면, 하나씩 클릭해 수확하면 됩니다. 그런데 농장의 규모가 엄청 크다면 일일이 클릭해 수확하는 것은 꽤 번거로운 일이겠지요. 이럴 때 ‘자동 수확 기계’를 사용하면 쉽게 ... ...
- [가상 인터뷰] 반딧불이, 주변을 따라 빛을 낸다고?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안다고 해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지 반딧불이를 직접 만나 물어볼게요. Q. 반딧불이 씨, 자기소개 부탁해요. 그리고 반짝임의 비결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 주변 반딧불이와 같은 시간 간격을 두고 반짝거리는, ‘동기화’가 가능한 반딧불이 포티누스 캐롤리누스예요. 제 꽁무니에는 ... ...
- [이달의 책]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는 잘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인터뷰도 담아 전문성을 높였다. 제주에 사는 돌고래들의 이야기가 담긴 ‘돌고래 씨 안녕허우꽈?’는 11월 따끈따끈한 신작으로 출판돼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와디즈’를 통해 독자와 만날 예정이다. 구매자들에게는 한정판 굿즈까지 준다고 하니, 책을 가장 먼저 만나 볼 기회를 놓치지 말자 ...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일맥상통합니다. “디지털 이미지는 너무 쉽게 소비되는 경향이 있어요.” 관우 씨는 인터넷이나 SNS에 너무 많은 이미지가 존재하면서 사진을 소중히 여기는 경향이 없어진 것 같다고 말합니다. “필름을 잘 찍으면 디지털처럼 나온다는 말이 있어요. 필름카메라 마니아들은 디지털처럼 잘 나온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