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촛불
초
캔
양담배
d라이브러리
"
양초
"(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키를 잘 맞추면 5m 정도의 거리에 있는 촛불도 쉽게 꺼뜨릴 수 있다. 친구들과 함께
양초
여러개를 나란히 세운 뒤 누구 불이 꺼지는지를 겨뤄보는 것도 재미있다 ... ...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불을 붙인 다음 술통에 가까이 가져가 보는 것 밖에 없어요. 그러다 불이 꺼지면 다시
양초
로 불을 붙여 술통으로 가져가는 일을 반복하지요”라고 말했다. 하지만 프리스틀리에 대한 사람들의 의심은 줄어들지 않았다.그 후 다른 교구로 옮겨가게 된 프리스틀리는 양조장을 찾기가 어려워졌다.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빨려 들어간다.이때 풍선으로 병을 들어올려보자.왜그럴까?유리병 속에 들어있던 공기는
양초
의 불꽃에 의해 부피가 늘어나면서 병 밖으로 일부가 나간다. 이때 병의 입구에 물 풍선을 올려놓으면 유리병 내부는 밀폐된 상태가 된다.이 상태에서 촛불이 꺼져 병 내부의 공기가 식으면 병 안에 ... ...
비밀편지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하면 글씨가 나타난다. 그 이유는
양초
의 주성분인 파라핀이 녹기 때문이다. 무극성인
양초
가 물과는 섞이지 않지만 불에는 맥을 못춘다는 것을 보여준다 ... ...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물이 올라온다고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열팽창에 의한 효과도 있다.(후술). 그러나
양초
연소 실험에서 만들어지는 이산화탄소는 물에 거의 녹지 않고(상온에서는 더욱 더 그렇다), 수증기도 대부분 응결되므로 물 속에 다 녹는다고 볼 수 없으므로 산소의 소모로만 설명할 수 없다는 얘기다.
양초
... ...
Y2K 비상계엄 시나리오 5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할지 모른다. 그렇다면 상당한 전력을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가정에서는
양초
와 손전등으로 겨울을 나야 한다.”Y2K 때문에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이라도 누출된다면 이보다 큰 일은 없다. 설령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원자력발전소를 임시나마 폐쇄한다면 40%의 전력을 원자력에 ... ...
나뭇잎 속에 숨겨진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우리 몸이 타버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한꺼번에 열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양초
와 달리, 우리 몸에서는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각 단계마다 극히 적은 양의 에너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세포 속으로 들어가는 영양분(연료)은 소화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잘게 나뉘어지고, 작은 알겡이 ... ...
2. 물질의 반응성-생활 속 소재탐구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있는방법이 무엇일까. 파라핀에 불을 가까이 하면 녹을 뿐 계속해서 타지 않는다. 이때
양초
처럼 무명실로 심지를 만들어 파라핀의 중앙에 꽂으면 파라핀을 지속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그러나 실제로 해 보면 이론처럼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심지로 사용할 무명실을 빨래 비누를 넣고 ... ...
화학- 성냥불 없이 촛불켜기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쓰는 이유는 바로 산소를 충분히 만들어주기 위해서 입니다. 산소가 많아지면
양초
의 탄소가 타는 온도가 낮아져서 쉽게 불이 붙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마술사의 한마디로 저절로 켜지는 촛불! 봄날의 햇볕이 이제 더이상 졸리지는 않을 것입니다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물리적인 실체가 아니고 어떤 특수한 상태. 이를
양초
불꽃의 예를 들어 알아보자.
양초
불꽃은 뚜렷한 외곽선을 가진 실체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부단히 변화하는 프로세스이다. 중단없이 계속 주입되는 연소물질이 불꽃의 형태를 만들고 또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이와 마찬가지로 은하의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