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웅변가
강연자
강사
연설가
연설자
확성기
스피커
d라이브러리
"
연사
"(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동아리의 천국, 느낌을 중시하는 과학문화 창출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학문을 만나는 자리이다.뜻 맞는 친구를 만나 소주 한잔을 기울이며 낮에 있던 교양강좌
연사
가 남긴 작은 파문을 감동으로 받아 들인다. 작은 과학철학자가 되어 인생과 과학, 그리고 사랑을 이야기한다. 오리광장의 넓디넓은 공간을 마치 긴 인생 이야기로 채우기라도 하듯이. 과학은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주었다.아인슈타인은 후에 베소를 '유럽 최고의 반향판'이라고 지칭했다. 반향판이란
연사
나 연주자 뒷편에 설치된 칸막이로 청중에게 더 힘있는 음향을 제공하는 장치다. 이것은 본래의 소리를 완전하게 재현하지만 자기 목소리는 없다. 그가 자신의 사고 집중에 도움을 주는 메아리 역할을 했다는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경제적 욕심은 없고 발명풍토 조성에 힘쓰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발명덕분에 단상에
연사
로 서서 강의를 할 수 있게 됐으니 이만큼으로도 좋습니다."발명가 홍성모씨의 웃음은 스스로 고난을 이겨낸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빛나는 것이었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소위 나노테크놀로지(nanotechnology)로써 가능하다고 말했다.뒤이어 네그로폰테는 어느
연사
도 민스키교수 바로 다음번에 자원하지 않아 할 수 없이 자기가 나오게 되었다는 농담으로 분위기를 잡은후 '대중매체여 안녕'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였다.저녁에는 미디어 연구소에서 저녁식사를 겸한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줄을 잇는다.국립중앙과학관 조성과의 배재웅 기좌는 "수도권과 떨어져있어 강연회
연사
를 초청하는데 어려움이 적지 않다"며 "아직은 과학관을 찾는 이들이 시설물 관람에 급급, 강연참여는 그리 많지않은 편이나 앞으로도 행사는 꾸준히 진행될 것"이라고.주말을 이용하면 과학관 관람과 강연회 ... ...
「혼돈속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맡게되며, 국내에서는 김용운교수(한양대·수학) 박찬모교수(포항공대·컴퓨터그래픽)가
연사
로 참석한다.또 세미나기간 중에는 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 프랙탈이론에 의한 그래픽작품 60여점도 함께 전시된다.정보문화센터는 서울 세미나가 끝나면 5월 25일 대전 과기대에서 5월 26일 포항공대에서 ... ...
실용화에 따른 과학적 윤리 규명 시급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원적외선에 대한 연구 및 논쟁이 뜨겁게 일고 있는 일본의 원적외선 연구자들이 주로
연사
로 참여했다. 상온원적외선 방사체인 세라히트 발명자, 의료 및 식품연구가 등으로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들은 "원적외선에 대한 원리규명이 아직도 과학적으로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 ...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하고, 동료간에 협조의 길을 열 수도 있었다. 이와는 별도로 매월 두번 정도 열리는 초청
연사
의 세미나를 통하여 현재 부딪친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얻기도 하였다.우리의 상황에서 연구원이 과제를 스스로 도출한다는 것은 어렵다 하더라도, 서로 긴밀한 학문적 대화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86년 버클리에서 열린 세계소립자물리학회에서는 그를 특별
연사
로 초빙하기도 했다. 그가 대상으로 한 실험데이타가 낡은 것이어서 신뢰성에 문제는 있었지만, 아뭏든 그후 활발한 연구와 실험의 기폭제 역할을 한 점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제5의 힘이 그토록 큰 파문을 ... ...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발표된 KAIST의 기술발전평가센터가 발표한 연구보고서는 현재의 출연연구소와 '특
연사
'를 평가한 후, '연구수행상의 간섭주의를 지양하고 자율권을 부여하는 한편 연구결과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고 제안해 주목을 끌고 있다. 이 보고서는 정부의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