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캐릭터 얼굴 그릴 땐, 도형이 필요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투니는 마나의 손을 잡고 달려 어디론가 쏙 들어갔어요. 그곳은 바로 마나가 가장 좋아하는 만화가의 작업 노트 속! 캐릭터의 얼굴을 그릴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도형은 원이 ... 원인 ‘타원’에 가깝지만, 만화 캐릭터를 그릴 때는 귀여움이 돋보이도록 주로 동그란 원을 사용해요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렇듯 많은 이들이 모여 탄생했다. 실스 연구팀은 그동안 촬영한 고대 파피루스의 3차원 X선 스캔 데이터들과 함께 가상적 펼치기 기술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공개했다. 참가자들의 역할은 주어진 정보를 활용해 돌돌 말린 파피루스를 펼치는 알고리즘, 파피루스에서 잉크를 식별하는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해소하기 위해 한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SKT는 모든 사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AI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했다. 네이버는 ‘커넥트 재단’을 운영하며 유아부터 청소년, 일반 대중까지 다양한 이들을 대상으로 AI,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야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점이 있다. “일회용품 관리 정책을 ‘과태료 부과’에서 ‘자발적 참여에 기반하는 지원정책’으로 전환하고자 한다”란 대목이다. 여기서 반응이 갈린다. 환경부 발표와 같은 날 소상공인연합회는 “일회용품 사용 허용 및 계도기간 연장은 비용 증가인력난소비자와의 갈등에 직면하는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평선 아래에 생깁니다. 일반적인 무지개가 왜 지상에서 볼 때는 둥글지 않고 반원처럼 형성되는지는 한 마디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반쪽이 지평선 아래에 가려지기 때문입니다. 지평선 아래에는 나머지 반쪽이 있고, 우리 눈에는 지평선 위의 반쪽만 보이니까요. 사실 브로켄 현상은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상황과 맞물리면서 한정된 에너지의 가격은 요동치고 있다. 김 강사는 “한국은 에너지 원료의 95.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에너지 위기에 특히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수업은 에너지 안보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남겼다. 백서준 군은 “예전에 정전이 된 적이 있었는데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만든다.” 같은 문장은 예리해서 훨씬 재밌다. ‘자발적으로 고약하게’는 20년 넘게 개코원숭이와 동고동락한 영장류학자이자 인간 뇌를 혁신적으로 연구한 신경과학자인 새폴스키여서 가능한 표현이다. 인간의 이런 한계가 그를 괴롭히며 ‘행동’을 쓰게 했다. ‘행동’은 우리 행동의 한계를 ... ...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2022년 필즈상을 거머쥐었다. 필즈상은 수학에서 탁원한 업적을 세운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수학계 최고 권위 학술상이다.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최대 4명까지 상을 준다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상대방보다 내가 피자를 더 많이 먹으려면 선을 몇 번 그어 피자를 잘랐는지 센 다음, 원의 중심이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피자 한 번 더 많이 먹기 어렵다. 이 모든 걸 감수할 만큼 피자가 맛있어야 시도할 만한 방법이다. 칼질을 4번만 해서 공평하게 나눠 먹으려면? 이번에는 칼질을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예보하는 AI 외에 다른 AI도 개발 중인가요? 예보관의 의사결정을 돕는 ‘AI 예보지원 모델’을 만들고 있어요. 호우, 강풍, 폭염 상황이 예상될 때 예보관들이 쓰는 의사결정 과정을 모델에 넣어 AI가 24시간 인지 판단을 하도록 하는 거죠. 예를 들어 AI가 3일 내로 특정 지역에 폭염 특보가 발생할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