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음파"(으)로 총 73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박쥐의 사냥법이 궁금해? 답은 똥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멈춰 있는 먹잇감을 사냥할 수 있는지는 아무도 몰랐다”며, “잎과 나뭇가지도 초음파를 반사하기 때문에 정글에서 정지한 먹이를 반향정위로 찾는 것은 힘들다”라고 말했답니다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시도된 프로젝트예요. 시술은 30분만에 끝이 났어요. 삵의 임신 여부는 임신 진단용 초음파 검사로 확인할 수 있지만, 삵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 임신 기간인 두 달을 기다려보려고 합니다. 참여했던 모든 수의사들이 새끼가 태어나 방사 훈련을 거쳐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길 소망하며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사자 '도도'가 식욕을 잃은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가장 먼저 수술 부위를 확인했어요. 좀 부풀기는 했지만 치유되고 있었지요. 이어 자궁 초음파 검사를 했어요. 강현구 교수님은 혹시나 떼어낸 자궁 부위에 염증이 생기지 않았을까 걱정하였지요. 다행히도 우려했던 문제는 없었습니다. 그제서야 강현구 교수님의 얼굴에 미소가 번졌어요. 국내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횟수(Hz, 헤르츠)를 말해요. 사람은 1초에 16~2만Hz를 들을 수 있는데, 박쥐는 이보다 높은 초음파(2만Hz 이상)를 주로 내기 때문에 사람이 들을 수 없거든요. 에코미터는 소리가 한 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주기’를 길게 늘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로 낮춰주는 거예요.“박쥐들은 특히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벤져스 : 엔드게임 속 CG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비록 사람처럼 무거운 물건을 띄울 순 없지만 물방울은 충분히 띄울 수 있죠. 음파로 물방울을 공중에 고정시 키는 기술인데요, 아마 설명 없이 영상만 보면 ‘마술인가?’라고 생각할지도 몰라요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미뢰,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가청 주파수’라고 하고, 진동수가 1초에 2만 번 보다 많아 들을 수 없는 소리를 ‘초음파’라 한답니다. 용어정리*Hz(헤르츠) : 진동수의 단위 ...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의미 있었다”고 전했어요. 연구팀은 크릴 생물량을 알기 위해 음향 탐지기로 바다에 음파를 쏘아 바닷속 생물의 신호를 받았어요. 여기엔 플랑크톤, 물고기 등의 음향신호도 섞여 있어요. 크릴 신호만 구분하기 위해선 크릴의 몸길이를 알아야 해서 그물로 크릴을 잡았어요. 그 결과, 로스해 연안과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법령을 만족시켜야 한다. 우리나라는 초정밀 용접, 변형제어, 비파괴검사(위상배열 초음파검사, 원격내시경검사) 등의 기술을 개발해 회원국 중 최초로 진공용기 섹터를 완성해 공급했다. 초전도 도체도 한국이 ITER 회원국 중 최초로 공급을 완료했다. 초전도체는 플라스마를 가둘 수 있는 거대한 ... ...
-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냥감의 위치를 찾는데, 보트 엔진에서 나오는 소음 때문에 배 근방 약 5.2km이내에서는 음파탐지를 통한 사냥을 잘 시도하지 않는다. 공기가 깨끗환경부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유행한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횟수는 전국 평균 128회로 2019년 상반기(579회)에 비해 약 4분의 1로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파악할 수 있어. 음파로 위치를 파악하는 ‘소나’ 기술을 활용하거든. 나는 소나 장치로 음파를 쏘아 해저지형이나 빙하에 부딪혀 돌아오는 시간으로 내 위치를 알아낸단다. Q 지금은 무얼 하고 있어?A 몬테리만해양연구소는 우주홀해양연구소와 함께 북극 바다에 나를 투입해 유출된 기름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