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압"(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못하면 용접이나 하라고? 용접하려면 수학이나 배우고 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대수학 이해용접에는 많은 공식이 필요하다. 힘과 중력에 관한 물리학 공식부터 전류와 전압을 다루는 전자기학 공식, 오일러 공식 등의 수학식도 쓰인다. 건축공학자는 여러 공식과 이론을 활용해 구조물을 설계하므로, 용접 기술자는 이것을 이해하고 직접 활용해야 한다. 또한 필요한 공식을 ... ...
- [노벨화학상] 전지에 혁명이 일어나다, 리튬 이온 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전압을 높였어요. 리튬코발트산화물도 이황화타이타늄처럼 층상 구조인데, 두 배의 전압을 얻을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1985년 전지를 개발하는 회사에 다니고 있던 요시노 아키라 교수는 음극을 개선했어요. 음극에도 양극과 마찬가지로 층상 구조를 적용했어요. 석유코크스로 리튬 이온을 층 ... ...
- [과학뉴스]나비의 날개처럼 유연한 인공 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잘 흘러서 전압을 조금만 가해도 잘 구부러지는 인공 근육의 전극으로 이용됐지요. 낮은 전압에도 1초 만에 반응하고 1만 8000번을 구부렸다 펴도 성능 변화가 거의 없어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장점이랍니다.오일권 교수는 “새롭게 만든 이온성 인공 근육으로 움직이는 예술 소품을 만들었고, ... ...
- [출동!기자단] 수중 동물 친구들을 만나러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전기를 감지해 주변을 탐색할 수 있어요. 최대 850V의 강한 전압으로 먹잇감을 기절시킨 뒤 순식간에 잡아먹는답니다. 물범과 다양한 수중 생물 친구들“이번엔 귀여운 눈망울의 물범을 만나러 가 봐요.” 기자단 친구들은 물범 행성으로 이동했어요. 이곳에선 홍창의 ...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전자가 진동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평소에는 전자가 무작위로 돌아다닌다. 여기에 전압을 걸어주면 척력에 의해 전자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힘이 중첩되며 진동을 발생시킨다. 기타줄을 튕겼을 때처럼 소리가 나는 것이다. 에드워드 레어드 랭커스터대 물리학과 교수는 “무엇이 진동을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해서 바로 대체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성능이 좋은 배터리를 사용하려면 제품의 전압을 바꿔야 하고, 회로도 다시 구성해야 한다. 안전성 검증도 필요하다.하지만 휴대용 전자기기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리튬이온전지의 장점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가령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데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수식어가 더 어울린다. 구디너프 교수가 리튬이온이 삽입된 코발트산화물이 4V의 전압을 만든다는 것을 증명한 게 1980년이고, 이를 바탕으로 요시노 교수가 최초의 상업적인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한 것이 1985년이기 때문이다. 핵심 논문이 발표된 지 무려 40년 가까이 흘러 마침내 노벨상이 결정됐다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AMS는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AMS의 에너지를 줄인다는 것은 전압을 낮춘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되면 AMS의 경제성이 좋아지겠죠. 2007년 스위스 연구팀은 기존(2000keV)보다 3배 이상 낮은 600keV의 에너지만으로 다중 원소에 대한 방사성동위원소 질량 측정이 가능한 AMS를 개발해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승리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변압 기술이 부족했던 직류에 비해 유연하게 전압을 바꿀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같은 거리를 송전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이론적으로 교류 방식이 직류 방식에 비해 송전 효율이 떨어진다. 전류가 100이 필요하다고 할 때, 직류로는 100만 보내면 되지만 교류는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파워 전원은 이온화된 입자인 플라스마를 만들거나, 입자의 속도를 높이는 가속기에서 고전압을 빠르고 세게 발생시킬 때 필요하다. 장 교수는 “석사과정에 입학한 이후 지금까지 줄곧 펄스 파워 전원 연구에 매진해왔다”며 “펄스 파워 전원은 1990년대부터 한국전기연구원이 기술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