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음
결합
접속
연결부
접촉
어스
꺾꽂이용 가지
d라이브러리
"
접지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개 왜 생기고 건강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한냉한 공기의 난류혼합이 일어나는 전선부근에서 형성된다(전선무 또는 비안개).
접지
층 부근에서 습도가 상승하는 것은 전선성 강우가 증발해 나타나기 때문이다.특수한 유형의 혼합무로는 도시안개가 있다. 도시안개는 공기중에 포함된 많은 양의 연기입자가 고요한 날씨에 수증기의 응결을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제대로 된 피뢰침 주위에는 천둥과 번개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피뢰침이 끊어져서
접지
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정전기 유도에 의해 방전이 그곳에서 일어나므로 천둥과 번개를 불러들일 수도 있다.비유를 하자면, 수학여행을 가서 옆의 여관에 여학생들의 숙소가 있을 때 남학생들은 그쪽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당시의 주변의 환경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맹신은 곤란하다. 피뢰의 최상책은
접지
가 잘된 건물 안으로 피하거나 가장 낮은 자세를 유지해 낙뢰를 유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후에는 캡슐에 탑승하고 있는 우주비행인은 착륙지점 선택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다.
접지
이전 마지막 낙하단계에서 낙하산이 펴져서 착지 속도를 최소한으로 줄여 안전한 착륙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런 캡슐은 단 한번 사용 후에 버리게 된다.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보통 비행기와 같이 ... ...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관한 연구도 했다.도버 횡단에서 우주통신으로1896년 영국의 G. 마르코니는 모르스부호를
접지
안테나를 사용해 전파로 보냈으며, 1896년에는 도버해협의 횡단통신에 성공했다. 그러는동안 통신거리와 관련돼 안테나에서 중요한 것은 용량체(콘덴서)와 길이라는 것이 알려졌다.마르코니의 실험이 ... ...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그 위에 마그네슘코팅(무반사용)을 한 보안경을 국내기술로 개발중이다. 니켈막에
접지
장치를 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원리는 망계열 제품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 제품은 한국 표준연구소에서 행한 시험테스트 결과, 가시광선 투과율이 40%대로 일정하나 전자파차폐율이 70~90%로 망제품(99% 수준)보다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개발되고··· 알다시피 초기의 무선통신은 도전식(導電式)이었다. 이 방식은 양끝을
접지
한 전선을 공중에 팽팽하게 설치한 뒤 이 전선에 전류를 흘린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반대편에는 전선을 설치, 전류를 검출했다.그러나 이 방법은 설치비용이 많이 들며 통신거리도 짧아서 실용화하는데 ... ...
미사일을 맞아도 끄떡 없는 비행기 가능?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떨어질 때의 생존률은 75%이하로 감소된다고 한다. 낙하산이 완전히 펴지기 전에
접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또 하나의 문제가 남는다. 아무도 조정하지 않은 채로 떨어지는 동체가 아무 해없이 사람이 없는 곳에 떨어진다는 것을 보장 할 수 없는 것이다.또한 조종사가 이착륙시 승객실로 탈출을 ... ...
비행기추락·컴퓨터교란 하이테크 시대의 골치거리, 전자스모그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유도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건물을 중심으로 주위에 전기도금된 금속망을 둘러치고 이를
접지
시킴으로써 해결되었다. 즉 금속망이 '패러데이 새장'의 역할을 한 것이다. 일상적인 전파간섭 반드시 송신기만이 전자 스모그의 발생원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 모터는 일상적인 전파간섭의 원인이 ... ...
견학명소가 된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연구기능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우리나라의 나비들을 '한국
접지
'라는 도감으로 펴낸 데 이어 '한반도의 하늘소와 갑충지'라는 곤충도감이 곧 출간될 예정이다. 과학관측은 이곳에 보유하고 있는 곤충, 특히 산림해충에 관한 자료들을 연구목적 등으로 이용하고자 요청하면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