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물질문명
문화
개화
근대화
현대화
교양
d라이브러리
"
정신문명
"(으)로 총 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난 6월21일 프레스센터. 녹색문화 확산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전영우 교수는 기술 중심의 산업주의를 극복할 대안으로서 녹색문화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인구의 92%에 이르는 도시인들에게 숲의 소중함을 알리고 숲을 보존하는데 동참하도록 하는 방안을 이야기할 때는 비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2054년 미국 워싱턴. 범죄를 예측해 단죄하는 최첨단 치안 시스템 ‘프리크라임’ 이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프리크라임 시스템의 ‘예지자’ 들은 범죄가 일어날 시간과 장소뿐만 아니라 범행을 저지를 사람까지 미리 예견해낸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존 앤더튼(톰 크루즈)이 이끄는 특수경찰은 미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얼마전 발간된 ‘2003년 재난연감’ 에 따르면 지난해 재난은 총 28만8백69건으로 전년도 26만9천7백4건에 비해 4.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로 인해 발생한 인명피해만도 39만1천8백37명, 재산피해액은 2천1백79억원에 이른다.자동차 사고로 목숨을 잃거나 다친 사람은 모두 38만3천5백83명. 전년보다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박성래끼파파 스머프. 한국 외국어대 사학과 박성래 교수에게 제자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늘 만면에 인자한 웃음을 가득 담은 표정으로 말하는 모습이 닮아서다. 그리고 다소 엉뚱해보이는 농담을 잘 하기에 더욱 그렇다.한 예로 박 교수는 ‘박성래 달력’을 만들자고 공공연하게 제안한다. 그는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흰색 가운을 입고 있는 40대 중반의 남성. 헝크러진 머리에 두꺼운 안경을 썼다. 플라스크 안에선 정체 불명의 녹색 액체가 끓고 있다. 비밀스러운 음모가 진행중이다. 그는 바로 ‘미치광이 과학자’(mad scientist)다. 미치광이 과학자는 영화라는 장르의 탄생과 함께 수많은 SF 호러물에 단골 소재로 ... ...
병적도박과 알코올 중독 같은 생리현상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제주도의 호텔 카지노. 최근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던 TV 드라마 ‘올인’의 배경이다. 올인(all-in)은 도박을 할 때 자신이 가진 모든 돈을 한번에 배팅하는 것을 뜻한다. 드라마에서 주인공 김인하가 거액의 돈이 오가는 카지노에서 천부적인 재능을 발휘하는 장면을 보면 한번쯤 “올인!”을 외 ... ...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올해는 DNA 이중 나선 구조가 발견된지 50주년이 되는 해다. 인류는 DNA 이중 나선 구조를 해명하면서 생명의 신비를 풀 수 있는 열쇠를 갖게 됐고,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을 이루게 됐다.1953년 영국의 유명한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실린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DNA 구조에 관한 글은 생명 ... ...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먼 훗날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하늘을 나는 자동차, 달에 건설된 호텔, 집안 일을 도맡는 로봇…. 미래라는 질문에 흔히 이런 것들을 상상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영화를 통해 그려지는 미래는 ‘밝고 희망찬’ 모습보다는 ‘어둡고 절망적인’ 모습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핵전쟁 이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바다를 메우고 강과 하천을 덮고 만든 땅과 도로가 개발과 번영의 상징이던 시대가 끝나고 있다. 도시화·산업화가 지상과제여서 난개발 속에서도 제 목소리를 내기 어려웠던 과거와 달리, 요즘은 첨단도시 속에서도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산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지역이 대접받고 ... ...
왜 수학이 의료장비 개발에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북소리만 듣고도 북의 모양이 둥근지 또는 세모인지를 알아낼 수 있을까. 수학자의 대답은 ‘그렇다’이다. 이 물음에는 ‘역문제’라고 불리는 흥미로운 수학적 문제가 함축돼 있다. 역문제는 외부 데이터만으로 내부 성질을 찾아내는 문제로, 의료영상, 비파괴 검사, 금융 산업에 응용 되고 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