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텔리
지식층
지식계급
학자
지자
문화인
식자
d라이브러리
"
지식인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회유해, 오히려 총독부가 주도하는 교육운동에 돈을 내도록 했다. 또한 조선교육협회
지식인
들을 협박해 내선융화운동에 협조하게 만들었다. 결국 전국 조직을 갖추고 민립대학 설립운동을 펼쳤던 조선교육협회는 점차 유명무실해지더니 1927년 신간회가 생기자 해체되고 말았다. 물론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과학문화’죠. 과학은 실제로 우리 생활의 모든 부문에 스며들어 있는데도 상당한
지식인
조차 과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예를 들어 과학기술이 환경을 파괴하고 인간성을 황폐하게 만든다는 부정적인 견해는 과학에 대한 이해 부족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소설가 윌리엄 새커리에 관한 연구서를 포함해 많은 저서가 있고 최근의 저술로는 ‘
지식인
과 대중’이 있다. ‘지식의 원전’외에 또 다른 편저서로는 영국 페이버사에서 출간한 ‘보고문학 모음집’이 있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버팀목 역할을 했다.또 당시 만연했던 매카시즘(극단적 반공주의)에 대한 미국
지식인
들의 저항에도 적극 동참했다. 변절자로 몰려 사형 선고를 받았던 공산주의자 물리학자 부부 에설과 줄리어스 로젠버그 사건에 적극 개입했다.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과 함께 동료과학자들에게 호소문을 ...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무리일지 모른다. 그런데 아예 ‘잡종(hybrid)’에 대한 관심 정도가 아니라, ‘잡종적
지식인
’이 돼야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잡종 정신’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온 학자가 있다.Yes와 No의 지식을 넘어서서울대 홍성욱 교수. 그의 잡종론은 이미 1990년대 후반 토론토대에 재직하고 있을 무렵부터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곳곳에 흩어진 기존 지식을 집대성하고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는 코스모피디아는 모든
지식인
들의 꿈이자 열망이다. 그리고 실제 이를 위해 지금도 세계 각국에서 여러가지 노력과 연구가 진행 중이다. 코스모피디아만의 특성인 개방성, 융통성, 그리고 지식의 분산성은 이제 모든 지식이 한 곳에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보여주지 않았습니다.뉴턴이 가장 좋아했던 초상화는 로마 시대의 기둥 옆에서 당시
지식인
들이 집에서 쉴 때 입는 호사스러운 가운을 입고 시인처럼 몽환적인 표정으로 앉아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었다고 합니다. 낭만주의가 판치던 당시엔 천재란 시인과 같이 상상력을 펼치는 사람들에게나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알코르는 냉동보존 서비스 중에틴저 교수의 인체 냉동보존 아이디어는 1960-1970년대 미국
지식인
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특히 히피문화의 전성기인 1960년대에 환각제인 엘에스디(LSD)를 만들어 미국 젊은이들을 중독에 빠뜨린 장본인인 티머시 리어리(Timothy Leary) 교수는 인체 냉동보존술에 심취했다.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선택한 또다른 이유는 수학의 ‘가치중립성’ 때문이었다. 전쟁 때 남쪽이든 북쪽이든
지식인
을 적대시했기 때문에 공부를 한 것이 영예가 아니라 오히려 피해 다녀야 하는 입장이었다. 정치가는 가장 대표적인 공격 대상이었고, 많지도 않은 과학자나 기술자 역시 편안하지는 못했다.이런 점에서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극에는 문학적
지식인
이 그리고 다른 한쪽 극에는 과학자, 특히 그 대표로 물리학자가 있다. 이 둘 사이는 몰이해, 때로는 적의와 혐오로 틈이 크게 갈라지고 있다. 더욱이 도무지 서로를 이해하려 들지 않는다.”1959년 물리학자이자 소설가인 스노우는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의사소통 단절을 두고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