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작
신설
창시
창설
독창
창안
천지창조
d라이브러리
"
창조
"(으)로 총 1,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맹목적으로 성서를 믿는 것이 왜 위험한지 설명한다.또 저자는 진화생물학자답게
창조
자 없이도 복잡하지만 멋지게 설계된 고등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음을 진화적으로 증명한다. 또 작은 돌연변이가 살아남아 후대에 전달되는 자연선택처럼 우리가 가진 종교적 믿음과 친절 또한 진화의 산물이라고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나노봇은 아직 요원한 꿈미국의 공학자 킴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발표한 저서 ‘
창조
의 엔진’에서 지금의 나노봇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당시 드렉슬러는 분자 조립자(molecular assembler)라고 일컬었다. 이 책에서 꿈꾸는 나노봇은 고도로 프로그래밍돼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자가복제까지 가능하다. ... ...
4만 5500년 전에도 인류는 그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단서”라며 “반인반수는 기존에 존재하던 것을 새롭게 조합해 유에서 ‘무한한 유’를
창조
한 결과물”이라고 말했다.반인반수 가운데 여섯 명은 창과 밧줄을 든 채 소 옆에 서 있어 사냥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오른쪽 위 사진). 이 벽화의 발견으로 사냥 장면을 담은 그림이 등장한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수 있는 재밌는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 목표”라며 웃었다. 두 분야 접목해 새 영역
창조
하는 뇌기계지능 연구실 머신러닝 중 하나인 딥러닝은 사람의 뇌의 정보처리 과정과 비슷한 점이 많다. 현재 머신러닝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여전히 미숙하다. KAIST 바이오 및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인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합의가 형성돼 있다면 인용을 생략할 수 있다. 그 내용이 자신이
창조
한 새로운 방법인 것처럼만 작성하지 않으면 된다. 하지만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실험 기법조차 논문에 사용하려면 어떤 논문에 나온 방법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정확히 인용해야 했다.시대에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6호
온 세 명의 독자 기자가 한자리에 모였어요. 장소는 코딩로봇 ‘지니봇’이 탄생한 경기
창조
혁신센터였지요. 독자 기자들은 코딩으로 지니봇을 움직이는 법을 배우고 로봇으로 사탕을 빼앗는 대결을 벌이기로 했어요. 과연 독자 기자들 중 누가 승리했을까요? 두근두근, 지니봇 ‘언박싱’!독자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곳 중 하나는 지구로부터 7000광년 떨어진 독수리 성운이에요. 1995년, 허블우주망원경은 ‘
창조
의 기둥’이라 알려진 독수리 성운 중심부의 한 지역을 촬영했어요. 이 기둥 모양의 가스와 먼지가 뭉쳐지며 별이 탄생하는 장면을 볼 수 있었지요. 이후 천문학자들은 같은 곳을 갓 태어난 별을 둘러싼 ... ...
a-school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처럼 코딩을 바탕으로 각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
하는 능력을 ‘디지털 문해력’이라고 하죠. 프로세싱 언어와 같은 효과적인 도구를 이용해 디지털 문해력을 길러보세요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주기율표를 만들어보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느낀 적이 있나요? 이런 경험이 있다면 이번 기회를 통해 주기율표를 마음껏 재
창조
해보세요.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이 과학동아와 함께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자신만의 기준을 사용해 원소를 분류하고 각 원소의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해보세요. 복잡하고 화려하지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존재가 된 뒤에도 인간이 남긴 숙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다가 마침내 새로운 우주를
창조
하는 이야기입니다. ‘두 번째 유모’는 그보다 규모는 작지만, 색다른 미래를 보여줍니다. 해왕성의 아이들은 이미 인간이라고 하기에는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달라졌으며, 행성을 관장하는 인공지능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