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채워보자. 빈틈을 최대한 없애려면 동전을 삼각형 격자 모양으로 배열해야 한다. 동전의 크기가 다양하면 어떨까? 100원짜리와 10원짜리 동전을 함께 채우면 가지런했던 삼각형 배열이 들쭉날쭉해질 거다. 500원짜리 동전까지 추가하면 더욱 심해질 것이다. 토르콰토는 이처럼 불규칙하지만 고른 ... ...
- 1과 1을 모으면 1이 아닌가요? 에디슨의 엉뚱한 질문!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돼요. 그럼 1+1은 1이 아닌가요?” 사실 에디슨의 말은 틀렸어요. 찰흙이 합쳐지며 크기가 커졌기 때문이지요. 무게가 1g인 찰흙 한 덩이와 또 다른 1g짜리 찰흙 한 덩이를 합치면, 1g+1g=2g의 찰흙이 되지요. 아쉽게도 에디슨의 예상은 틀렸지만, 당연하게 생각하는 일을 다르게 생각 해 보는 건 멋진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 거대한 구체는 뭐지?! 계속 모습이 바뀌잖아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엄청난 크기의 공연장 ‘스피어’가 등장했다고 해서 나 마이보가 탐구해 봤어. 빨간색의 비밀과 물리학자가 설명해 주는 과학 밈, 우당탕탕 인공지능 달리기 대회까지 알차게 영상을 준비했으니 여기 앉아서 같이 보자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메르센은 2n - 1 이 모두 소수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무작위로 골랐을 때 비슷한 크기의 다른 홀수보다 소수일 가능성이 훨씬 더 컸다. 하지만 메르센은 곧 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머지않아 n이 소수일 때 메르센 수가 모두 소수가 된다고 생각했다. 훗날 사람들은 메르센 수 중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43은 어떤 소수의 곱으로 이뤄졌나?’라고 물으면 바로 답할 수 있을까? 조금 더 수의 크기를 키워보자. 소수 1031과 5119를 곱하는 것은 쉽게 할 수 있지만, 이 수를 곱한 5277689를 소인수분해 하면 몇이 되는지 빠르게 말할 수 있을까? 아마 답을 낼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수가 커질수록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같은 2족보행 로봇이 전력을 더 많이 소모한다. 두 다리로 균형을 잡는 데 배터리 소모가 크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 4족보행 로봇이 배터리를 한 번 충전하면 3시간 가량 활동할 수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경우 이보다 더 짧은 시간동안 활용할 수 있을테니 상용화에 큰 벽이 되리란 예측이다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메모리를 최초로 출시했다.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반도체 저장장치다. 양자적 크기의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전압을 걸어 플로팅 게이트에 전자를 채우거나 비워 데이터를 기록한다.이동식 저장 장치인 USB 메모리부터 SD카드, SSD(Solid-state Drive)에 이르기까지 최근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돌기 없는 지느러미보다 다소 적었지만, 돌기 없는 지느러미가 양력을 일으키기 어려운 크기까지 포함한 훨씬 넓은 영역의 받음각에서 혹등고래의 지느러미는 양력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혹등고래가 자유롭게 지느러미를 사용하는 비결이 이 돌기라고 예상할 수 있죠. 이 연구는 이론적인만큼 여러 ...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찾는 연구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 ‘까맣게 탄 면이 있는 팬케이크가 섞여 있을 때 크기가 큰 팬케이크가 아래로 가되 항상 탄 면은 바닥 면이 되도록 배열해야 한다’는 상황을 추가한 ‘탄 팬케이크 문제’, 팬케이크 대신 인도 빵인 로띠로 변형하고 ‘처음에 한 더미로 쌓여 있던 로띠를 ...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 나비의 양 날개처럼 퍼져 나가는 점의 지수는 +2다. 가마가 없는 벡터장에서는 벡터의 크기가 0인 점(털의 길이가 0인 점)을 모두 찾아 그 점의 지수를 더하면 0이 된다. 반면 지수의 총합이 0이 아니면 가마가 적어도 1개는 있는 벡터장이다. 하지만 고양이의 털을 깎거나 빗질을 새로 할 때마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