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기업의 축적된 노하우 없이는 쉽지 않은 일이다. GS칼텍스 화이트바이오개발센터의 3HP
프로젝트
리더인 유미정 책임연구원은 “화이트바이오 기술 개발은 미생물 발효 공정, 분리정제 공정 등 원천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런 원천기술을 결합해 상업 생산 규모로 확산하는 스케일업 연구가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연구는 실제로 진지한 연구자들이 성실하게 진행했다”며, “이그노벨상이 진지한 과학
프로젝트
를 비웃게 만드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메이 경이 염두에 둔 사례는 미국에서 수여되는 ‘황금 양털상’이었다. 황금 양털상은 미국 정부의 예산을 낭비한 사업에 수여되는 상이다. ... ...
[수학체험 유랑단] 막대 던져서 π 근삿값 구하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난수를 이용해 실험하고 확률을 계산해요.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
’에 참여한 20세기 폴란드계 미국인 수학자 스타니스와프 울람이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묘사하기 위해 처음 고안했어요. 확률은 도박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됐다보니 당시 카지노로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과학자들은 이미 20년 전에 유전체 연구의 막강한 영향력을 예상했습니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를 이끈 연구진이 2003년 4월 네이처에 발표한 ‘유전체 연구의 미래에 대한 비전’은 오늘날의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이후부터 쭉, 유전체 연구는 인간을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허가를 잘 내려줄까 싶어서 그런 겁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주변에서 저희
프로젝트
에 대한 좋은 반응을 많이 보내주고 계세요. 유튜브 영상을 보고 전국 각지의 학교에서 로켓 개발과 관련한 질문을 해오기도 하고요. 텀블벅 펀딩도 오늘(10월 26일) 보니까 310만 원 정도가 모였더라고요. 그중 절반은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다한 위성인 우리별 1호를 지구로 귀환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리별 1호의 귀환
프로젝트
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다. 정 연구원은 “(우리별 1호 귀환과 별개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역시 현재 로봇팔로 우주 쓰레기를 붙잡는 ADR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주 쓰레기를 ... ...
[특집] 인간 유전체 해독 43년, 이제야 끝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지도가 주어진 셈이다. 05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유전자를 찾아 2003년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의 끝이자, 본격적인 유전체학 연구를 알리는 시작이었다. HGP를 통해 기술적 혁신을 거듭한 유전체 분석 기술은 인간 유전체 분석을 넘어 생물학 현장 구석구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적은 양의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실패연구소에서는 지난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주제로 연구
프로젝트
를 진행했습니다.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그 결과 360여 개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KAIST ... ...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주노미아
프로젝트
는 박쥐나 대왕고래 등 포유류 240종의 유전 정보를 해독하고 비교하는
프로젝트
예요. 전 세계 연구기관 50곳에서 150여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했지요.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연구팀이 이끈 연구에선 인간이 가진 유전자 중 10%는 거의 모든 포유류에게서 오랫동안 보존됐다는 사실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