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봉우리
봉우리
마루청
peak
pick
d라이브러리
"
피크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밝은 불빛만 피하면 망원경으로 관측가능하다고 알려졌다.11월 중순은 혜성 관측의
피크
를 이룬 때였다. 일반인들이 많이 갖고 있는 7×50 쌍안경으로도 약 4도에 달하는 혜성의 꼬리가 관측됐다. 즉 쌍안경으로 보았을 때 시야의 반 정도를 혜성이 가로지르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4인치나 6인치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곡선은 3K보다 약간 낮은 온도의 플랑크 곡선과 일치하며 0.18cm(마이크로파영역)에서
피크
가 보인다.이미 1926년에 에딩턴은 우주 공간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추론하여 3.2K라는 결과를 얻었지만 당시에는 그것을 검증할만한 방법이 없었다. 대략 15년 후에 캐나다에 있는 도미니온 천체물리관측소의 ... ...
로키 고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험준한 빙하협곡 등 웅장한 산악미와 많은 종류의 야생동물로 유명하다. 최고봉(롱스
피크
)은 해발고도 4천3백45m나 된다. 이후 기후가 건조해지자 산간분지의 호수들은 염수화되고 플라야(Playa)라고 하는 사막호수로 변했다. 이때 주변의 호수들이 깊어지고 얕아지는데 따라 해안(호수호안)의 높이가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에어컨 등 냉방에 상당량 전력을 뺏기기 때문. 에어컨이 풀가동되는 오후 2~3시가
피크
타임이다. 올여름 냉방전력 수요는 4백만㎾ 정도로 예상된다. 1백만㎾ 급 원전 4기가 에어컨을 켜는 데 동원된다는 얘기다.전력수요가 많은 대형건물의 냉방용으로 동자부와 한전이 적극 권장하고 있는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것은 개인별 차이와 개인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다르다. 어떤 자료에 따르면 40㏈(A)의
피크
소음에서 잠을 깨는 율이 5%, 70㏈(A)에서는 30%로 증가하고 1백에서 1백20㏈(A)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잠을 깬다. 이를 항공기 소음에 개략적으로 적용해 보면 일반 주택의 차음량을 20㏈로 보고 주택에 미치는 ... ...
PART4 주차난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평일 사이에는 아주 다른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평일에는 주차수요가 가장 집중하는
피크
시간이 오후 7시에서 8시 사이인데 비해 집중일에는 오후 3~4시가 가장 복잡한 시간이 된다.특히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 조금 넘어서까지 집중일의 수요가 평일의 수요에 비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또 ... ...
독일의 작은 거인 「부르」(후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브로드
피크
'. 그 이름은 상부 발토로 빙하를 헤치고 들어간 최초의 유럽인 「마틴 콘웨이」경이 붙인 거대한 세개의 정상이 있는 산으로, 고드윈·오스틴 빙하의 동쪽에 있다. ...
PART Ⅱ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RCA그룹에 의해 만들어졌다. 규소(Si) 태양전지가 개발된 것이다. 당시의 태양전지 가격은
피크
와트당(Wp) 약 3백50달러로 엄청난 고가였다. 때문에 그 용도는 인공위성 등대 통신중계소 등 특수분야의 전원에 국한되었다.그러나 태양광발전은 그후 용도가 날로 확대되었다. 다른 발전방식에 비해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지난 번 태양활동의 정점이 1979년 겨울에 있었으므로 1991년 초쯤에 다시
피크
를 이룰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이 예상은 빗나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실제로 최근 태양이 연출한 '사건'들을 분석한 미국 항공우주국부설 마셜우주센터의 학자들은 태양활동이 매우 빠른 속도로 절정을 향해 치닫고 ... ...
반도체 산업계를 뒤흔든 16메가칩 개발의 진상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있는 비정한 승부의 세계인 것이다.어쨌든 삼성전자의 진박사는 예정대로 일본학회에서 '
피크
큐런트노이즈를 줄인 실험적인 16메가D램'이란 제목으로 16절지 3장정도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내용만으로 16메가D램 개발의 진위를 판단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일본 NTT가 87년 세계 최초로 1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