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론벌레
유해곤충
페스트
독충
유해 동물
악충
d라이브러리
"
해충
"(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곰팡이를 재배해 먹는 개미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비밀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어요. 신선한 잎을 사용하면 곰팡이의 번식을 위협하는
해충
이나 다른 곰팡이가 없어서 곰팡이를 더 잘 키울 수 있어요. 그래서 가위개미들이 더 번성할 수 있었다는 거지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라이스대학교 스콧 솔로몬 교수는 “가위개미가 곰팡이를 재배하는 ... ...
[현장취재] 우리는 지사탐 패밀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어벤져스의 강연을 귀담아 듣고 있다.➌ 유리알락하늘소는 애벌레가 나무를 파먹는
해충
이다.➍ 강연장 밖에는 우수 탐사대원들이 만든 포스터가 전시되었다. 지사탐 일 년이면 나도 생태학자?지구사랑탐사대 6기부터는 신규 탐사대원들을 도와 줄 ‘리더팀’이 처음으로 활동해요. 리더팀은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산림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국내에 분포하는 개미 분류 및 분포 조사연구, 산림
해충
조사연구, 항만에 분포하는 유입 외래종 분포 조사 등을 수행하고 있다. myrmicinae@sangji.ac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관심사다. 특히 한반도의 토착수종인 소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솔잎혹파리 등
해충
으로 인한 피해를 막는 환경친화적인 방제 기술 개발이 급선무다. 박호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990년대부터 남북은 곤충병원미생물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미생물 살충제 개발 등의 연구에 ...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똥으로 착각하고 땅에 묻어 씨앗의 번식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똥에 몰려드는
해충
을 줄여 주는 데도 소똥구리가 큰 역할을 해요. 대표적인 사례가 호주와 뉴질랜드의 ‘소똥구리 프로젝트’지요. 원래 이곳에 살던 원주민들은 소를 기르지 않았어요. 그런데 유럽 사람들이 호주로 ...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대신 은행나무를 가로수로 많이 심기 시작했어요. 은행나무는 잎과 줄기, 뿌리 어디에도
해충
과 병이 거의 없는 나무로 손꼽혀요. 또한 공해에도 강하고, 가을이 되어 잎이 노랗게 물들면 거리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이었지요. 그러나 한동안 대표적인 가로수로 뽑히던 은행나무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마술 공연 등 다양한 체험들을 즐겼답니다. 탐험에 참여했던 김동영 친구는 “나무가
해충
들을 잡기 위해서 살충제 작용을 하는 피톤치드를 내뿜는다는 사실이 가장 신기했다”며, “숲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얘기했어요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갑자기 늘어난 하늘소 무리가 산림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줄까 봐 걱정된다고?에이~, 걱정 안 해도 돼. 우리는 생태계에서 ‘분해자’ 역할을 하는 이로운 종이란다. 하늘소가 늘면 오색딱따구리도 늘어난다?!곤충은 최대한 많은 알을 낳고 가장 뛰어난 자손이 살아남게 하는 방법으로 번식해요. ... ...
Part 1. 하늘소, 서울을 습격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나무를 ‘기주식물’이라고 한답니다. 사람들은 나무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하늘소를
해충
으로 오해하기도 해요. 하지만 모든 하늘소가 그런 건 아니에요. 특히 이번에 화제가 된 하늘소는 힘이 약해지거나 죽은 나무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산림을 훼손시키지 않아요. 또 전염병을 옮기거나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수 있답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너희를 이용해 모기를 없애니? 이렇게 천적을 이용해
해충
을 죽이거나 서식 밀도를 줄이는 방법을 ‘생물학적 방제’라고 해요. 왕모기를 이용해 다른 모기를 죽이는 방법은 1929년 하와이에서 시작됐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5년 딱정벌레목 곤충인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