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영역"(으)로 총 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뱀파이어 AU 좀 섞어서 해포(스포있음)포스팅 l20220620
- 볼드모트.....인걸루..다가사실 해리는 인간이었는데 볼드모트 영혼이 들러붙으면서 뱀파이어 된 거구요볼드모트가 뱀파이어=신의 영역, 즉 다른 마법사들은 쨉도 안 되는 그런 수준이라 누구도 대적하지 못했던 겁니다근데 우리의 해리포터 뱀파이어죠?볼드모트에게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사람....뱀파이어구나?그러나 이 뱀파이어에게도 약점이 있는데..... ...
- 6월 민물고기 탐사후기!기사 l20220619
- 지금까지 5번째 입니다. 특히 이번 민물고기 탐사는 꽤나 흥미로웠습니다. 어떤 민물고기를 만나고, 또 우리나라 민물고기의 분포 영역은 어디까지 되는지 궁금했습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저희 가족은는 양주 민물고기 생태 학습관에 갔습니다. 가보니 생각보다 탐사대원이 많이 참가했습니다. 멀리 천안 인천에서 오신 가족도 있으셨어요. 각 ...
- 송곳니 보이는 고라니탐사기록 l20220617
- 영역다툼시 뿔 대신 송곳니로 공격하는 고라니.국립서천생태원에서 발견했어요.돌출된 송곳니가 잘 보이네요! ...
- QR코드의 원리기사 l20220530
- 외에 작은 사각형들이 있는데 이것인 셀(cell)이라고 합니다. 이 셀들이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고 있으며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데이터 영역도 커집니다. QR코드는 21x21에서 177x177셀까지 있습니다. QR코드를 더 자세히 보면 얼라인먼트 패턴이 있습니다. 얼라인먼트 패턴의 모양은 위치 찾기 심볼과 비슷하지만 크기는 더 작습 ...
- [갇힌 영혼들]_1화-원한의 숲포스팅 l20220514
- 야! 너도 고맙다고 해야지! 윤지유-감삼다.. 루아-응 난 이만 일이 있어 갈께...! '...호니는 어디있담..' ???-야! 넌 누군데 함부로 남의 영역을 침입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갇힌 영혼들]1화-원한의 숲포스팅 l20220512
- 야! 너도 고맙다고 해야지! 윤지유-감삼다.. 루아-응 난 이만 일이 있어 갈께...! '...호니는 어디있담..' ???-야! 넌 누군데 함부로 남의 영역을 침입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순수함이 가득했던 바이오블리츠 캠프 (축복.희망팀ㅡ엄마)기사 l20220510
- 살뜰히 살펴 주시던 선생님, 모험심과 섬세한 열정으로 마지막까지 맴버들까지 챙겨주시던 선생님! 이 조합 찬성입니다. ) 각자의 영역에서 책임감으로 똘똘 뭉쳐서 이뤄짐 팀웍이 너무 멋지고 든든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미래에 순수한 열정으로 지구를 탐험하는 학자가 된다면, 지혜로움이 가득한 선생님이 된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얼마나 고마울까~~ ...
- 쿸런 이야기 3기 최종화(36화) 마지막=처음(+막촬 소감&작가의 말)포스팅 l20220508
-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제가 출연한 드라마도 봅니다ㅋㅋ 그렇게 자기 피드백하면서 촬영해요 이번에 제가 맡은 역할은 큰 영역을 차지하진 않더라고요 그래서 다른 드라마보단 좀 쉴 수 있었습니다!ㅋㅋ 솔직히 대기하면서 아역 나오는 거 보는데 진짜 눈물나게 잘하더라고요...ㅋㅋ 보더맛 쿠키가 신문 업체 쪽이었잖아요?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ㅋㅋ 중딩 때까지만 ...
- 탐사기록 l20220504
- 한국의 민물고기, 채병수, 송호복, 박종영 저, LG상록재단) 노란색이 참갈겨니 HK타입, 보라색이 NS타입, 파란색이 NE타입이 분포하는 영역인데 이 중 NS형과 NE형의 분포범위가 겹쳐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다음은 평상시 혹은 어린 갈겨니와 참갈겨니의 구별법 이에요. 피라미에 비해서 갈겨니와 참갈겨니는 비슷하게 생겼기에 살짝 더 세밀한 ...
- 코로나 변이, 이젠 좀 그만하자.기사 l20220423
- 6/covid-lambda-variant-what-is-it 람다 변이는 2020년 12월 남아메리카 페루에서 처음 확인됐습니다. 람다 변이 스파이크 단백질은 수용체결합영역 내 L452Q, F490S 등 새로운 두 가지 돌연변이가 생겼습니다. 이로 인해 람다변이는 전염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재감염 위험도 높일 수 있죠. 람다변이의 중화항체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