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뉴스
"
가시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사율 97% 신소재로 다시 쓰는 이솝우화
과학동아
l
2024.09.28
젤라틴-DNA 에어로겔은 자외선을 흡수해
가시
광선 파장으로 바꿔 내뿜습니다.
가시
광선 영역의 파장에서 측정했을때 반사된 빛의 양이 입사량보다 더 많았던 것입니다. 특정 파장대에서의 반사율만 계산했기에 가능한 수치입니다. 높은 반사율은 복사 냉각 효과로 이어졌습니다. 연구팀은 가로, ... ...
우주·양자 비밀 밝히는 1000조와트급 장치…"예산 삭감 탓 전기료도 빠듯"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중요한 시설"이라며 "현재 세계 최고수준의 경쟁력을 갖고 보유한 만큼 앞으로도
가시
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정부와 학계의 많은 관심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한국기록원이 발급한 고등광기술연구소가 생성하는 극초단 레이저의 출력 기록 인증서. 광주=박정연 기자 hesse@donga ... ...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클로킹 기술은 특정 파장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나 적외선에서만 효과적이다. 때문에
가시
광선 전 영역을 포함하는 클로킹 기술은 여전히 연구 중이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9월호,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 ...
"수소에너지 인프라 핵심 기술 만든다"…산·학 집결 강원도 첨단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9.08
대학이 협력하는 지역혁신사업(RIS)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스마트수소에너지사업이
가시
적인 성과를 내면서다. 이 지역의 대학과 기업이 연계해 도출한 성과는 인재들의 유입‧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지자체와 지역 산업계, 학계가 힘을 합쳐 기술 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한 사례로 이어질지 ... ...
우주비행사의 적, 우주방사선 잡는 우주복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이주를 꿈꾼다. 국제우주정거장(ISS) 체류 등에 제한됐던 인간의 우주 공간 직접 진출이
가시
권에 들어온 셈이다. 우주 방사선은 이같은 인류의 우주 진출에 직접적인 걸림돌이다. 우주 방사선을 차폐하는 우주복 신소재가 필요한 이유다. 국내 과학자들이 우주 방사선에 포함된 중성자를 막는 ... ...
테러·범죄 악용되는 불법 드론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훈련을 실시했다. 20일 ETRI 본원에서는 기관을 향해 침투하는 드론을 탐지하고 추적해
가시
권 내에서 드론을 확인하고 무력화시키는 훈련을 수행했다. ETRI 연구팀이 불법 드론 탐지 및 추적 기술을 시연하며 드론 영상과 지도상의 위치를 비교하고 있다. ETRI 제공 연구결과는 행사장이나 공공시설, ... ...
해상도 100배 빛 측정 센서 개발…정밀한 자율주행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연구팀은 메타 샥-하트만 파면 센서를 통해 3차원 위치를 추적해 이 센서가 거의 모든
가시
광 영역에서 작동하며 기존 센서보다 약 10배 큰 시야각을 갖는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넓은 영역에서 물체의 3차원 위치 추적이 가능해진다. 제1저자인 고기현 박사는 “메타 샥-하트만 ... ...
비 오면 에너지 만들고 맑으면 냉방 돕는 전천후 유리창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일반 유리와 비교해 유리창 안쪽 온도를 평균 8.2℃, 최대 24.1℃까지 낮출 수 있었다. 또
가시
광선 영역에서 80%의 투명도를 구현해 유리창뿐 아니라 다양한 곳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준석 교수는 "기후와 지리적 조건의 제약이 많았던 청정에너지의 생산성 한계를 극복할 대안을 ... ...
실내 온도 낮추고 빗방울로 전력 생산하는 '스마트 창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수확하고 자가 발전할 수 있다. 추운 날 창문에 끼는 성에나 서리를 신속하게 제거해
가시
성을 확보하는 기술은 투명 전극을 통한 줄 발열의 히터 기능을 이용했다. 줄 발열은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개발한 스마트 창문이 일반 창문 대비 약 7도 낮은 온도를 ... ...
페르세우스 유성우, 10~12일 절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8.11
일출이 시작되기 한 시간 전까지가 관측하기 가장 좋은 시간대다. 단 날씨가
가시
거리에 영향을 미치니 맑은 날을 택해야 한다. 또 유성우가 진짜 소나기처럼 쏟아져 내리는 것을 관측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선 자세나 앉은 자세로 계속 하늘을 보는 건 힘들 수 있다. 가급적 돗자리를 펴고 누워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