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통
고전어
뉴스
"
고전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맘마·멍멍이 학습한 AI, 인간 언어 습득 경로 밝힐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것이다. 레이크 교수는 “아이들이 단어를 학습할 때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지에 대한
고전
적인 논쟁이 있는데 AI 모델로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AI 모델에게 더 많은 학습을 시키면 더 많은 의구심을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국방 분야 양자 원천기술 확보한다…국방양자센터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컴퓨터와 레이더 개발이 연합군에게 승리를 가져왔듯이 양자컴퓨팅·센싱 분야에서
고전
적 국방기술을 앞지를 ‘국방 양자 우위성’을 확보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설명했다. 표준연이 주관하고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주최한 오늘 개소식에는 국방부와 육·해·공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토트넘은 이번 시즌 10라운드까지 8승 2무로 1위에 올랐지만, 그 뒤 부상과 징계가 속출해
고전
하며 20라운드 현재 12승 3무 5패로 5위다. 10라운드까지 손흥민의 기대득점 지도(xG map)로 28회 슈팅에 8골(빨간 원)을 기록했다. 각 슈팅 위치를 원으로 나타냈고 넓이는 기대득점 값에 비례한다. 모든 슛의 ... ...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
과학동아
l
2023.12.21
√ 2층 O전시실 바깥 복도에 마련된 ‘뉴턴 1687’ 공간에서 만날 수 있다. ‘뉴턴 1687’은
고전
역학의 기초를 다진 뉴턴이 산책하고 사색하던 숲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휴식의 공간이다. 나뭇가지 모양의 벤치와 잎사귀 모양 책꽂이 사이에 사람 키보다 큰 ‘빅 북(big book)’이 놓여있고 빅 북에서 ... ...
크리스마스 장식, 어릴 때보다 덜 설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사람들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건 아닌 것 같다. 크리스마스 장식과 관련한 유명한
고전
연구가 있다. 국제학술지 ‘환경심리학저널’에 실린 미국 유타대 심리학과 연구로, 연구에 따르면 크리스마스 장식은 이웃과의 응집력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 미국처럼 주택 외관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는 ... ...
IBM, 1000큐비트 양자칩 첫 공개…"10년 내 양자컴 시대 열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2.05
‘중첩’이라는 독특한 양자 현상을 이용해 여러 큐비트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고전
컴퓨터는 전기가 통할 때 1, 통하지 않을 때 0으로 표기되는 비트 구성인 반면 양자 컴퓨터는 0과 1이 같이 존재할 수 있어 연산 수행 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콘도르는 연산 수행 속도가 슈퍼컴퓨터 수준으로 ... ...
"경증환자 대형병원 쏠림 '원격협진'으로 해결...원격진료 보조"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지지부진하면서 원격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폐업 수순을 밟는 등
고전
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해당 업체들에게 협진시스템은 원격진료 플랫폼을 더욱 무용지물로 만드는 위협으로 느껴지진 않을까라는 물음에 명재효씨는 “원격진료랑 원격협진은 아예 다른 개념”이라며 ... ...
KAIST, 손상된 '양자얽힘' 되돌리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0
측정을 이용해 원래대로 되돌리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자얽힘은
고전
물리로 설명될 수 없는 양자 물리의 고유한 특성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입자 중 한쪽의 상태가 결정되는 순간 다른 쪽의 상태도 결정되는 독특한 현상을 뜻한다. 양자얽힘의 존재는 양자측정을 ... ...
[노벨상 2023] 화학상에 나노기술 혁신 이끈 양자점 발견 과학자 3인 (2보)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접하는 벌크 크기는 우리들이 화학적 특성들을 알고 있지만 나노 크기로 가면
고전
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양자 역학 현상이 발생한다”며 “세 명의 과학자는 나노 크기 입자를 만든 뒤 이 입자가 양자 화학적 특성이 있고 재료 화학, 광학 등의 시각에서 볼 때 벌크 세계에서 볼 수 없는 특성들이 ... ...
[씨즈더퓨쳐] 뇌세포와 컴퓨터가 결합하면 AI 뛰어넘을까
2023.09.24
뇌세포에게 퐁 게임을 가르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퐁은 1972년 처음 발매된
고전
아케이드 게임이다. 화면 이리저리 튀어 다니는 공을 판으로 쳐서 반대편으로 날려 보내면 된다. 판으로 공을 되받아치지 못하면 게임 오버다. 하지만 가장 궁금한 건 왜 하필 ‘뇌세포’에게 퐁 게임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