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곱"(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스타크래프트2 정복한 인공지능동아사이언스 l2019.11.16
- 전략을 짜야 해 쉽지 않다. 알파스타는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는 인공신경망인 합성곱신경망(CNN) 외에도 과거 데이서를 이용해 예측할 수 있는 순환인공신경망(LSTM) 등으로 이뤄졌다. 사람이 눈으로 게임 화면을 보면서 상황을 파악하고 상대의 전략을 예측해 자기 전술을 펼치듯이, 알파스타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2019.11.05
- 인수분해할 수 없다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무려 617자릿수인 RSA-2048로 두 소수의 곱이다. RSA-2048의 인수분해에 성공하는 연구팀에 20만 달러의 상금이 걸려 있지만 아직까지 난공불락이다. 양자컴퓨터가 인수분해에 성공해 ‘양자우월성’이 입증한다면 엄청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2019.10.31
- 년, 1.524AU 목성: 11.862년, 5.203AU 토성: 29.457년, 9.555AU 이제 주기를 제곱해서 장반경의 세제곱으로 나누면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성: 1.002 금성: 1.000 화성: 1.000 목성: 0.999 토성: 0.995 브라보! 케플러가 왜 조화의 법칙을 가장 사랑했는지 이해할만하다. 제3법칙을 활용하면 행성의 공전주기만으로도 ... ...
- 미래 기상이변까지 예측하는 AI동아사이언스 l2019.09.20
-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시신경을 모방한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했다. 합성곱 신경망(CNN)으로 불리는 이 AI는 사람이 사물의 형태만 보고도 금방 특징을 파악하듯 영상 속 사물을 파악하는 데 자주 활용된다. AI가 무작위 형태부터 학습을 통해 스스로 진화하면서 점점 원하는 형태의 물건을 ... ...
- 뇌파 보고 수면단계 맞히는 AI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8.26
- 구분하도록 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윤성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이 합성곱신경망(CNN)과 장단기메모리(LSTM)의 순환신경망을 동시에 적용해, 뇌파를 이용해 수면 단계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분하는 AI를 개발했다. CNN은 주로 이미지를 분석할 때, LSTM 순환신경망은 주로 시계열을 분석할 때 ... ...
-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방법론 ‘DeepEC’를 개발했다. DeepEC는 3개의 합성곱 신경망을 예측기술로 사용하며 합성곱 신경망으로 EC번호를 예측하지 못했을 경우 서열정렬을 통해 EC 번호를 예측한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DeepEC를 통해 게놈에 존재하는 방대한 효소 단백질 서열의 기능을 보다 효율적이고 ... ...
- 신약 후보물질 발굴, AI로 더 빠르게동아사이언스 l2019.06.18
-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는 부분임을 확인했다. 단백질 FKBP12과 MAPKAPK2을 대사응로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특정 지역(붉은색)에서 화합물이 더 잘 결합함을 알 수 있었다. 사진제공 GIST 남 교수는 김용철 GIST 생명과학부 교수, 안진희 GIST 화학과 교수와 함께 AI가 찾은 후보 약물이 실제로 ...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2018.11.18
- 제어하는 원리다”며 “이때 출력되는 전류에 크기는 넣어준 주파수와 기본전하의 곱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기존 정의처럼 길이나 무게들을 잴 필요가 없다. 단일전자펌프의 정밀도만 높여 정밀하게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면 바로 전류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재정의한 ... ...
- 심층신경망 속, 인공지능 블랙박스를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2018.05.10
- 못한 결과가 나오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도 제기됐다. 연구팀의 ‘심층 합성곱 프레임렛(Deep Convolutional Framelets)’이라는 새로운 조화분석학적 기술을 개발, 이를 통해 ‘인공지능의 블랙박스’로 알려진 심층 신경망의 수학적 원리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심층신경망의 구조가 얻어지는 ... ...
- 최대 지반가속도(PGA)값 높으니 원전 위험? PGA가 뭐길래동아사이언스 l2017.11.19
- 원전 뿐 아니라 일반 건물의 내진 설계에 반영하는 안전지표다. 질량과 가속도의 곱이 곧 힘인데, 가속도인 PGA 값과 건물의 질량을 알면 건물이 받은 힘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PGA 값이 건축물 주변 환경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값으로, 특정 관리소의 PGA 값을 ... ...
이전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