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대
요즈음
최근
근간
최신
요사이
현시대
뉴스
"
근대
"(으)로 총 1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국가연구시설 중기 확충·고도화 방향 공청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30
박물관을 뜻하는 '뮤지엄'을 합쳐 말을 만들었다. 1885년 고종이 최초로 전화기를 사용한
근대
통신 역사부터 현재 스마트폰까지의 통신 역사를 알아 볼 수 있는 체험 등이 준비된다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있는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프린스턴대 제공 국가의 주도하에 표준화되고 전문화된
근대
대학의 모습을 극단까지 끌고 나간 한국 대학들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해외 사립 명문대가 지향하는 인재상이 한국의 모든 대학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고 이들의 ... ...
[기고]전시회 없으면 산업도 없다
2020.10.15
선도하는 과감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역사적으로도 인류는 산업혁명을 거쳐
근대
산업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비로소 대규모 국제 전시회가 촉발됐고, 이를 통해 눈부신 산업 성장을 거듭해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방위산업 전시회 역사의 시작은 1851년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만국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유전기제에 대한 설명이 없다. 유전은 진화에서 없어서는 안 될 대단히 중요한 개념이다.
근대
적인 유전학은 마침 다윈의 동시대에 오스트리아의 한 수도사였던 멘델이 자신의 수도원에서 완두콩을 키우며 잉태하고 있었다. 그러나 멘델의 유전법칙(1865)은 당대에 빛을 보지 못했고 35년이 지난 190 ... ...
[과학게시판]'한국판 뉴딜, 성공의 조건' 포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검색해 볼 수 있다. ■ KAIST는 이덕희 기술경영학부 교수가 동양의 중용과 서양
근대
철학을 융합해 선진 문명사회 길을 제시하는 ‘내생사회: 머리와 손발의 소통 이야기’를 출간했다고 이달 13일 밝혔다. ‘네트워크 경제’ 연구를 통해 복잡계 과학에 경제학을 접목하는 한편 ‘도덕적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유인원은 인간이 퇴화한 결과라는 놀라운 주장까지 내놓았다. 훗날 다윈은 뷔퐁을 “
근대
최초로 종의 기원에 과학적으로 접근한 과학자”로 평가했다. 한편 뷔퐁은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기도 했다. 뷔퐁은 태양이 혜성에 부딪혀 그 일부가 떨어져 나와 지구가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고 지구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분명히 승리를 쟁취한 역사가 있다. 아이러니는 바로 여기서 시작된다. 실험이라는
근대
과학이 이룬 가장 위대한 성취를 통해 생물학은 실험을 주요 연구방법론으로 사용하는 분자생물학으로 거듭났는데, 그 분자생물학이 이룬 가장 위대한 성취는 DNA의 염기서열이 디지털 정보라는 사실이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폭넓은 독서와 글쓰기로 다양한 중국
근대
화 논쟁에 참여했고, 지질학을 통해 중국사회를
근대
화 시킨 과학자이자 과학행정가였다. ‘인본주의 과학’과 ‘과학적 인본주의’ 2014년 과학철학자 장하석 런던대 교수 겸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는 EBS 강의를 요약한 책을 통해 ‘인본주의 과학’이라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느꼈다. 원자와 분자의 존재에 쐐기를 박은 것은 1905년의 아인슈타인이었다. 돌턴이
근대
적인 원자론을 들고 나온 지 거의 100년이 지난 시점이다. 1906년 볼츠만은 가족들과 함께 이탈리아 북부의 작은 마을로 휴가를 떠났다가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평소 신경쇠약과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
2020.06.18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 한 모습은 과학을 단지 경제성장의 도구로뿐 아니라 ‘조국
근대
화’의 동력으 로 호명하며 동원해온 국가의 정책적 노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 연구행태에서든 연구규범에서든 한국에서 과학의 상업화는 국 가에 의해 추동되었고 상당부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